대회 안내

e스포츠대회 운영규정

본 규정은 「전국 장애학생 e페스티벌」 e스포츠대회의 공정한 운영과 판정에 기여함을 목적으로 하며, 종목별 운영 규정은 <붙임>과 같다. 제1장 참가 자격 이 대회에 참가하는 학생 및 인솔자 등은 참가 자격 및 종목별 선수의 자격을 시도별 지역 예선에서 확인받아야 하며 해당 자격에 맞지 않는 대상자가 본선 대회에 참가하였을 때 공인심판이‘운영 규정’에 따라 ‘몰수패’ 판정을 내릴 수 있다. 제1조 (특수학교) 이 대회에 참가하는 특수학교 학생은 다음의 조건을 충족하여야 한다. ① 특수학교에서 발달장애란 ‘지적장애, 정서·행동장애, 자폐성 장애, 학습장애, 의사소통장애’를 포괄하는 용어로 사용한다. ② 특수학교는 설립인가와 무관하게 두 가지 장애유형까지 출전할 수 있다. 단, 특수학교 스위치 볼링, 시범종목 폴가이즈 ‧ FC 온라인은 예외로 한다. ③ 특수학교 학생은 e스포츠대회의 한 종목에만 참가할 수 있으며, e스포츠대회 참가 학생은 전국 장애학생 e페스티벌의 정보경진대회에 참가할 수 없다. ④ 전국 장애학생 e페스티벌 e스포츠대회는 대회 시작부터 전년도까지의 동일 종목 최우수상 수상자는 해당 종목에 재출전을 할 수 없다. 제2조 (특수학급-통합 부문-) ① 특수학급에서 발달장애란 ‘지적장애, 정서·행동장애, 자폐성 장애, 학습장애, 의사소통장애’를 포괄하는 용어로 사용한다. ② 일반학생은 대회에 참가하는 특수교육대상학생이 재학하는 학교에 재학 중인 비장애 학생을 말한다. ③ 특수학급 학생은 장애등록 유무와 관계없이 특수교육대상자로 선정 받고 특수학급에 배치된 학생을 말한다. 단, 지역 예선대회 시 관련 서류(특수교육대상자 배치 결과 통지서 및 재학증명서) 등을 통해 소속 및 자격을 확인받아야 한다. ④ 모든 학생은 장애학생 e페스티벌의 e스포츠대회 한 종목만 참가할 수 있으며, e스포츠대회 참가 학생은 정보경진대회에 참가할 수 없다. ① 전국 장애학생 e페스티벌 e스포츠대회는 대회 시작부터 전년도까지의 동일 종목 최우수상 수상자는 해당 종목에 재출전을 할 수 없다. 제2장 공인심판 승부를 비롯하여 경기 중에 발생하는 모든 상황은 국립특수교육원에서 선임한 공인심판(이하 심판)이 판정한다. 제3조 (공인심판) ① 경기를 담당하는 심판은 경기 중에 발생하는 모든 상황에 대하여 판정을 내린다. ② 심판은 그 판정에 대해 제1의 책임을 진다. ③ 심판은 대회의 원활한 운영을 위해 규정 외의 돌발 상황 발생 시, 주최 측에서 선임한 심판장 및 경기 운영위원회(이하 위원회)와 논의하여 문제를 해결할 수 있다. ④ 심판은 다음의 모든 과정을 직접 진행한다. 가. 경기장, 게임 단말기 상태 점검 나. 경기 출전 선수 확인 및 입장 다. 각 경기 및 각 세트 선수 사전 환경 점검 명령 ※ 인솔자는 사전 환경 점검에 함께 참여할 수 있으며 사전 환경 점검 완료 후 퇴장 라. 선수 간 인사 마. 주의사항 전달 바. 경기 세팅 명령 사. 경기 시작 명령 ※ 옵서버가 있을 경우, 경기 시작 시점은 옵서버가 START 버튼을 누르는 시점임 아. 경기 종료 및 승패 판정 ① 경기 진행 중 심판의 승패 판정이 내려진 후에는 심판의 고유한 판정이 인정되어 판정에 대한 번복은 이루어지지 않는다. 심판의 판정 오류가 있다고 판단될 경우, 해당 심판의 징계는 위원회에서 결정한다. ② 기록원이 별도로 파견되지 않는 경우 심판은 기록원의 역할을 겸한다. ③ 기록원 또는 심판은 경기 종료 후 각 종목의 결과 기록지에 양 팀의 점수 및 승패를 기록하고 양 팀 인솔자의 서명을 받아 운영본부(심판장)에 제출한다. 운영본부에서는 결과 기록지를 종목별로 보관 및 관리하도록 한다. 제3장 경기 운영 제4조 (개인 장비) ① 출전 선수 출전팀(이하 선수)은 경기장 입장 시 불필요한 휴대전화, 스마트워치 등 전자기기를 소지하여서는 아니 된다. ② 경기에 출전하는 선수는 ‘마우스’, ‘키보드’, ‘키보드 패드’, ‘마우스패드’, ‘유‧무선이어폰’,‘헤드셋’, ‘마우스 드라이버’, ‘마우스 거치대’, ‘이어폰 연장선’,‘보조공학기기(스위치)’외의 별도의 개인 장비 또는 장치의 사용을 금한다. 단, 장애로 인하여 불가피한 경우에는 개별 장비 또는 장치를 사용할 수 있으나 참가신청서를 통해 운영 위원회에 사전 승인을 받아야 한다. 제5조 (사전 환경 점검) ① 심판은 입장 명령 후 양 선수에게 착석과 사전 환경 점검 및 게임을 위한 세팅을 지시하며, 종목별 첫 경기 선수에게 대회용 서버, 기기 및 계정 테스트를 요구할 수 있다. ② 선수는 경기 전 ‘가’호에서 ‘마’호까지 내부적 환경을 체크하여야 하며, 수정이 필요할 경우 경기 시작 전에 요청하여야만 한다. 또한, 선수가 수정을 요구하면 심판은 그 요구에 적극적으로 협조해야 한다. 가. 개인 장비: 장비 변경이 필요한 경우 인솔자가 설치하며, 개인 장비를 지참하지 않거나 작동이 안 되는 경우 주최 측에서 제공하는 장비를 사용한다. 나. 컴퓨터(태블릿 PC 포함)의 운영체제(OS) 및 프로그램 다. 사운드 라. 모니터 상태 마. 기타 (렉 유무, 감도 조절 등) ③ 선수는 경기 전 ‘가’호에서 ‘다’호까지 자신에게 영향을 미칠만한 외부적 환경을 체크하여야 하며, 심판은 선수의 이의 제기에 적극적으로 협조해야 한다. 가. 조명 나. 테이블 및 의자 상태 다. 기타 외부 환경 등 ④ 경기가 시작된 후 선수는 제②항 및 ③항에 따른 내·외부적 환경에 대한 수정을 요구하거나 이의를 제기하여서는 아니 된다. ⑤ 경기 전 내․외부적 환경 체크는 선수 및 인솔자가 책임을 진다. 제6조 (리그전) ① 참가 선수(팀)가 6명(팀) 미만으로 4강 운영이 불가능한 종목은 리그전으로 운영한다. ② 리그전은 대회에 참가한 모든 선수(팀)가 서로 1회 경기하여 경기 결과에 따라 승점을 부여하여 순위를 정하는 방식으로 다음과 같이 운영한다. 가. 경기 결과에 따른 승점: 승리 시 3점, 패배 시 1점을 부여한다. 나. 리그전 결과 승점이 동일하여 순위가 같은 경우 다음과 같은 순서로 순위를 정한다. - 득실 차(득점에서 실점을 뺀 값)가 높은 선수(팀) - 다득점인 선수(팀) - 승자 승(순위를 정하지 못한 해당 선수(팀) 간의 상대 전적이 우수한 선수(팀)) - 생년월일이 가장 늦은 선수(팀인 경우 그 선수가 포함된 팀) ※ 종목 특성상 득실 차, 다득점 산정이 어려운 경우 종목별 세부 규정에 있는 순위 규정을 따름 ① 팀파이트 택틱스 종목은 리그전을 운영하지 않는다. 제7조 (일시 중단 및 판정) ① 심판은 경기 진행 중 돌발 상황이 발생하거나 선수 또는 인솔자에 의해 경기 중단 요청이 있으면 ‘일시 중단’ 명령을 내리고 경기를 중단시킨 뒤 ‘심판 판정’ 규정에 따른다. 단, 심판이 경기 중단 상황이라고 판단하지 않을 경우, 중단 없이 계속 경기를 진행한다. ② 심판의 ‘일시 중단’ 명령 시 경기에 임하는 선수, 심판의 요청을 받은 진행요원 외에는 경기장 안으로 입장할 수 없다. ③ 선수는 마우스, 키보드, 태블릿 PC, 보조공학기기(스위치)에서 손을 떼고 시선은 모니터에 고정하며, 심판이 요청할 때만 이동한다. ※ 심판은 선수의 장애정도나 특성을 고려하여 운영 제8조 (불가피한 일시 중단 상황) 아래와 같은 이유로 경기가 일시 중단되면 해당 경기는 ‘심판 판정’규정에 따른다. ① 경기 진행을 위한 기자재 이상이나 정전, 네트워크 장애 등으로 경기가 중단된 경우 ② 선수가 사용하는 컴퓨터의 오류 발생 또는 컴퓨터 다운 현상이 일어난 경우 ③ 밝혀지지 않은 버그 또는 고의적이지 않은 것이 명확한 버그가 발생한 경우 ④ 관중의 경기장 난입, 이물질 투척을 비롯해 과격한 언사나 행동 등의 소동 또는 소음으로 인해서 더 이상의 경기 진행이 어려운 경우 ⑤ 경기 내용상 승패를 판정하는 것이 불가능해진 경우 ⑥ 장비가 규정에 어긋난 채 경기가 시작된 경우 ⑦ 선수의 신변에 위협이 생기거나 경기 진행에 차질이 야기된 경우 ⑧ 기타 천재지변을 비롯한 부득이한 상황으로 더 이상의 경기 진행이 어려운 경우 제9조 (선수의 요청으로 인한 경기 중단) 아래에 명시된 사항에 부합될 때, 선수는 거수 및 구두로 경기 중단 요청을 심판에게 할 수 있다. 심판은 ‘일시 중단’명령을 내림으로써 경기를 중단시킨 뒤 ‘심판 판정’규정에 따라 조치를 취한다. ① 주최 측에서 제공한 장비가 작동 이상을 보이거나 아예 작동하지 않는 경우 ② 밝혀지지 않은 버그가 발생하였을 경우 ③ 컴퓨터 작업환경이 갑작스럽게 이상을 보이는 경우 ④ 상대방 선수의 채팅을 통한 비신사적인 행위를 발견했을 경우 ⑤ 모니터의 화면이 스크램블 또는 굴절되는 등 이상을 보이는 경우 ⑥ 경기 전과 다른 조명 비춤으로 인해 시야에 영향을 미치는 경우 ⑦ 사운드가 나오다가 갑자기 꺼지는 현상이 발생했을 경우 ⑧ 선수 건강상의 문제가 발생했을 경우 ⑨ 기타 선수의 판단으로 경기에 영향을 미칠만한 상황이 발생했을 경우 제10조 (장비 작동오류) 장비의 작동오류는 ‘심판 판정’ 규정에 따르고 그 예를 아래와 같이 명시한다. ① 키보드, 마우스, 보조공학기기(스위치)가 작동을 멈춘 경우 ② 운영체제(OS) 프로그램상의 문제로 인해 키보드 작동의 오류가 발생한 경우 ③ 태블릿 PC 터치가 안 되는 경우 ④ 개인 장비의 선이 빠진 경우 제11조 (계정 및 게임 버전) ① 종목별 규정에 따라 개인 계정 또는 대회용 계정을 사용하며 심판이 대회용 계정을 제공하는 경우 선수는 해당 계정을 사용해야 한다. ※ 오델로, 마구마구 리마스터, 모두의마블, FC온라인 종목은 대회용 계정을 사용 ② 개인 계정 사용의 경우 본인 및 보호자 명의의 계정만 사용할 수 있다. ③ 지역 예선전에서 종목에 따라 대회용 계정 제공이 어려우면 개인 계정을 사용한다. ④ 게임 버전은 경기 시점에서 게임사에서 제공되는 최신 버전으로 한다. 단, 대회용 버전을 준비한 경우 해당 버전을 이용해야 한다. 제4장 이의 제기 제12조 (이의 제기) ① 경기 진행 또는 판정에 이의가 있을 시 인솔자 1인이 대표로 해당 종목의 심판에게 이의 제기를 할 수 있다. ② 심판은 필요한 경우 심판장 및 위원회에 의견을 구하여 이의 제기에 대한 답변을 할 수 있으며, 심판장 및 위원회의 의견에 따른 판정에 대해 인솔자는 이의를 제기할 수 없다. ③ 경기 시작 전 환경(세팅) 설정의 오류에 대한 이의 제기가 없었을 경우, 경기 중 세팅 관련 문제에 대한 이의를 제기하여서는 아니 된다. 제5장 비신사적 행위 제13조 (비신사적 행위) 경기에 임하는 선수 및 인솔자가 경기 중 아래에 해당하는 행위를 하는 경우 비신사적 행위로 인정하여 심판은 해당 선수에게 ‘심판 판정’ 규정에 따라 징계를 내릴 수 있다. ① 아래의 가호에서 다호까지의 과도한 세리머니를 하는 행위 가. 정치, 종교적인 메시지가 담긴 말, 행동, 문구 나. 상대 팀, 선수를 직접적으로 비하하는 말, 행동, 문구 다. 기타 상대 팀, 선수를 불쾌하게 하는 과도한 세리머니 ② 모욕적인 언사나 행동으로 상대 선수의 경기에 지장을 주는 행위 ③ 경기 전 채팅창을 이용하여 ‘욕설’, ‘폭언’ 등의 메시지를 입력하는 행위 ④ 불필요한 채팅을 입력하는 행위 ⑤ 기타 비상식적인 행동으로 경기장 분위기를 흐리거나 상대 선수를 자극하는 행위 제6장 심판 판정 제14조 (경기 포기 의사 선언) 다음의 경우 심판은 경기 포기 의사 선언을 인정한다. ① 경기 중 선수가 거수 또는 구두로 경기 포기 의사 선언하는 경우 ② 선수 건강상의 문제 등의 사유로 인솔자가 경기 포기 의사 선언하는 경우 제15조 (즉시 판정) 경기 중 선수의 요청 또는 일시 중단 상황이 발생했을 시, 심판은 경기에 대해 ‘일시 중단’ 명령을 내리고 문제를 해결한 뒤 해당 상황에 따라 재경기, 우세승 및 경기 속개를 명령한다. ① 일시 중단 문제 해결 후, 경기에 미친 영향을 판단해‘경기 속개’판정을 내릴 수 있다. ② 컴퓨터나 네트워크상의 오류가 발생하거나 기타 특수한 상황 발생으로 경기 속개가 불가능한 경우, 심판은 경기의 유ㆍ불리를 판단하여 ‘재경기’및 ‘우세승’을 판정할 수 있다. ③ 재경기 또는 무승부의 판정이 내려졌을 경우, 동일한 선수가 전 경기의 종료 시점과 가장 동일한 상황에서 경기를 할 수 있도록 한다. 세부 사항은 종목별 규정에 따른다. 제16조 (징계) 출전하는 선수가 비신사적 행위 또는 부적절한 행동을 했을 때, 심판은 해당 선수에게 ‘주의’, ‘경고’, ‘몰수패’, ‘퇴장’의 징계를 줄 수 있으며, 그 이외의 징계에 대해서는 심판장 및 위원회에서 결정한다. 제17조 (주의) ① 심판은 경기에 출전하는 선수 또는 선수단이 아래와 같은 규정 위반하였을 경우 ‘주의’ 판정을 내린다. 가. 선수 또는 선수단의 판단오류로 인한 일시 중단 요청 시 나. 경기환경, 생리현상, 세팅 등 사전에 체크해야 할 내용에 대한 일시 중단 요청 시 다. 경기 일시 중단 요청 시 심판의 견해로 고의성이 있다고 판단될 경우 라. 경기 종료 후 리플레이 저장 또는 재생하였을 경우 마. 기타 경기에 임하는 선수로서 부적절한 행동을 했을 경우 ② 선고받은‘주의’는 해당 종목 본선과 결승전까지의 기간 동안 유효하며 결승전이 종료되는 시점에서 효력을 잃는다. ③ 심판은 동점 상황에서 ‘주의’를 선고받은 횟수가 많은 선수에게 ‘패’를 선언할 수 있다. 제18조 (경고) ① 경기에 임하는 선수가 ‘주의’를 두 번 받은 경우,‘경고’1회를 받은 것으로 처리한다. ② 경고가 3회 이상일 경우에는 심판은‘몰수패’를 선언한다. ③ 심판은 경기에 출전하는 선수 및 인솔자가 아래의 가호에서 다호의 규정 위반을 하는 경우 ‘경고’를 판정할 수 있다. 가. 선수가 직접 경기를 일시 중단하였을 경우 나. 선수가 경기에 영향을 주기 위해 고의로 채팅하였다고 판단될 경우 다. 경기 중 인솔자가 선수에게 직간접적으로 지도 및 지시하는 경우 제19조 (몰수패) ① 심판은 경기에 출전하는 선수 또는 선수단이 아래와 같은 규정 위반하였을 경우 ‘Set 몰수패’또는 ‘전체 Set 몰수패’판정을 내릴 수 있다. 가. 참가 자격 또는 종목별 선수의 자격에 맞지 않는 장애유형, 학교급, 팀 구성의 선수가 참여한 경우 나. 인솔자 및 선수가 경기 시작 시간으로부터 10분 동안 경기장에 입장하지 않을 경우 다. 방송 및 전화로 3회의 호명 및 연락에도 경기장에 입장하지 않았을 경우 라. 선수가 경기 결과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거나 그에 준하는 목적에서 고의로 비신사적인 행위를 하는 경우 마. 인솔자 및 참가 선수가 경기에 영향을 미칠 목적 또는 고의로 상대 팀에 대한 허위신고를 하였을 경우 바. 금지된 버그를 사용하였을 경우 사. 경기의 승패에 영향을 끼친다고 판단되는 버그를 고의로 사용할 경우 아. 심판의 판정에 불복종하는 경우 자. 기타 대회 및 경기 진행을 고의로 방해하는 경우 차. 종목별 규정에 별도로 규정한 사항의 경우 ② ‘Set 몰수패’는 선수의 해당일, 해당 종목에서 경기 중인 또는 경기 예정인 Set에 대한 ‘몰수패’를 뜻한다. ③ ‘전체 Set 몰수패’는 선수의 해당일, 해당 종목에서 경기 중인 또는 경기 예정인 게임에 대한 ‘몰수패’를 뜻한다. 제20조 (퇴장) ① 경기에 임하는 선수 또는 인솔자가 경기 결과에 직접적인 영향을 주거나, 경기 진행에 방해가 되는 행위를 행하면 심판은 해당 선수 및 인솔자에게 ‘퇴장’을 명령할 수 있다. ② ‘퇴장’ 명령을 받은 선수 및 인솔자는 경기장 밖으로 퇴장해야 한다. ③ 관중이 경기에 직접적인 영향을 주는 행위를 행할 경우, 심판은 관중에게 퇴장을 명령할 수 있으며, 진행 중인 경기는 ‘심판 판정’ 규정에 따른다. 제7장 시상 제21조 (시상 인원 및 등급) ① 시상 인원은 당해년도 전국 장애학생 e페스티벌 세부 계획에 따른다. ② 리그전으로 운영한 종목은 그 결과에 따라 1~3위로 순위를 정하여 시상한다. 제8장 경기 운영위원회 제22조 (위원회 구성) ① 대회의 원활한 진행을 위하여 위원회를 구성하여 운영한다. ② 경기 운영위원회는 대회 주최기관인 국립특수교육원 1인, 한국콘텐츠진흥원 1인, 넷마블 문화재단 1인으로 구성한다. 제23조 (위원회 역할) 경기 운영위원회는 대회 운영에 관한 전반적인 사항을 결정한다. ① 경기 운영 중에 발생하는 문제 ② 종목 심판 및 심판장이 요구하는 문제 ③ 기타 대회 및 경기 운영 중에 발생하는 문제 부칙 1. 본 규정은 2025 전국 장애학생 e페스티벌 e스포츠대회(예선전 포함)부터 적용한다. 2. 본 대회의 종목별 선수의 자격, 경기 준비 및 시작, 경기 운영, 심판 판정 등의 운영 규정은 <붙임>과 같다. <붙임> [종목별 세부 운영 규정] 가. 닌텐도 스위치 스포츠 배구 (특수학교: 발달장애 초·중·고) 닌텐도 스위치 스포츠 배구 규정은 「전국 장애학생 e페스티벌 e스포츠대회」특수학교 발달장애 유형 초·중·고 과정에 적용하며, 참가 자격 및 기타 규정은 공통 규정을 준용한다. 제1장 선수의 자격 제1조 (자격) 초․중․고등학교 과정 구분 없이 시․도별 예선경기를 통해 선발된 특수학교의 발달장애 특수교육대상학생만 본선에 참가할 수 있다. 제2조 (팀 구성) 선수의 자격에 적합한 동일교 소속 특수교육대상자로 선정·배치된 학생 2인으로 구성한다. 제2장 경기 준비 및 시작 제3조 (대진표 및 경기 시간) ① 대진표는 주최기관 및 기획·운영위원 등의 사전 추첨을 통하여 결정하며, 본·결선대회 안내 시 공개한다. ② 경기 시작 시각은 경기 진행에 따라 조정될 수 있으며 심판이 인솔자에게 사전에 안내한다. 제4조 (입장 및 점검) ① 경기장 입장 후 선수는 경기 시작 전까지 장비 및 내부적 환경 점검 시간을 가진다. 수정이 필요할 경우 경기 시작 전에 요청하여야만 한다. ② 경기를 위해 추가된 규정의 경우 심판은 선수에게 사전 공지하고 참가 선수가 동일한 규정하에 경기를 진행할 수 있도록 한다. 제5조 (대전 방식 및 경기 세트) 팀전(2 vs 2)으로 진행하며 모든 경기는 두 번의 세트로 이루어진다. 제6조 (경기 설정) ① 대회용 기기: 닌텐도 스위치 및 조이콘 사용 ② 조이콘은 학생의 손목에 스트랩으로 고정한다. ③ 실행방법: 근처의 사람과 플레이 → 배구 → 인원수 4명 설정 → 팀 편성 → 실행 ④ 쓰기 편한 손 설정: 학생이 사용하기 편한 손으로 설정. ⑤ 캐릭터 설정: 4개의 캐릭터 설정 ⑥ 팀 편성: 캐릭터 1,2와 3,4를 같은 팀으로 설정하며 팀 내에서 위치 변경은 자유롭게 설정 ⑦ 선수의 위치: 화면으로부터 2m 내외 ⑧ 경기장 폭: 닌텐도 스위치와 조이콘의 인식 범위 제3장 경기 운영 제7조 (경기 진행) ① 2대2 팀전으로 진행된다. ② 각 세트당 5점을 먼저 획득한 팀이 승리한다. 단, 4점 대 4점일 경우 듀스가 발생하며, 듀스가 계속 진행될 때 7점을 먼저 득점한 팀이 승리한다. ※ 듀스: 먼저 2점 차의 우위를 차지하는 쪽이 승리하는 규칙 ③ 1세트가 끝난 후 각 학교 간 위치를 바꾸어 2세트를 진행한다. ④ 세트가 1대1일 경우 각 세트에서 획득한 점수를 합산하여 최종 승부를 결정한다. ※‘가’학교가 1세트에서 3점, 2세트에서 5점을 획득하였을 때 총 8점, ‘나’학교가 1세트에서 5점, 2세트에서 2점을 획득하였을 때 총 7점으로 가학교가 승리 ⑤ 각 학교의 득점이 같을 때 동전 던지기를 통해 위치를 정한 후 1세트를 더 진행하며 승패를 결정짓는다. ⑥ 플레이가 완료될 때까지 경기장 내 제자리를 유지하고, 심판의 지시에 따른다. 제8조 (순위) ① 4강전 운영이 가능한 경우 4강전에 진출한 팀 중 승리팀은 결승전에 올라가고, 패한 팀은 순위 결정전 없이 공동 3위로 한다. ② 4강전 운영이 불가한 경우 리그전을 운영하여 승점이 높은 순서로 순위를 결정한다. ③ 승점이 동일한 경우 다음과 같은 순서로 순위를 정한다. 가. 득실 차가 높은 팀 나. 다득점인 팀 다. 승자승(순위를 정하지 못한 해당 팀 간의 상대 전적이 우수한 팀) 라. 생년월일이 가장 늦은 선수가 포함된 팀 제4장 심판 판정 제9조 (판정) ① 심판은 정확한 결과 확보를 위해 경기 종료 후, 결과 화면을 캡처하여 저장한다. 대회 진행상 캡처가 어려운 경우 기록지로 대체한다. ② 경기 종료 후 기록지에 인솔자의 서명을 받아 운영 본부(심판장)에 제출한다. 제10조 (징계) 선수 및 인솔자가 아래에 해당하는 행위를 하는 경우 ‘경고’또는 ‘몰수패’징계를 내릴 수 있다. ① 경기 중 비신사적 행위의 경우 ② 경기 중 인솔자가 선수에게 직간접적으로 지도 및 지시하는 경우 ③ 고의적인 버그 사용의 경우 ④ 기타 공통 규정에 기재된 사항의 경우 ⑤ 종목별 규정에 금지된 사항 적발 경우 제11조 (재경기) ① 갑작스러운 정전 및 기기의 문제로 경기를 다시 진행하는 경우, 직전 세트의 점수는 인정된다. 이때, 직전 세트의 점수와 새로 실시한 세트의 점수의 합이 먼저 7점이 되는 학교가 승리하며, 해당 세트는 종료된다. ※ 정전 전 ‘가’학교 4점, ‘나’학교 2점이었으나 정전으로 중단되어 경기를 다시 시행하였을 때 ‘가’학교 3점, ‘나’학교 4점을 획득한 경우 ‘가’학교가 먼저 7점을 획득하였으로 해당 세트는 ‘가’학교가 승리하고 세트는 종료한다. ② 경기 진행 중 기기 문제 등 예측되지 않은 상황으로 인해 경기가 중단된 경우, 경기 중인 선수나 심판이 일시 정지를 요청할 수 있으며 상황 파악 후 심판의 판단에 따라 경기 진행 또는 재경기 여부를 결정한다. 나. 오델로 (특수학교: 시각장애 초·중·고) 오델로 규정은 「전국 장애학생 e페스티벌 e스포츠대회」 특수학교 시각장애 유형 초·중·고 과정에 적용하며, 참가 자격 및 기타 규정은 공통 규정을 준용한다. 제1장 선수의 자격 제1조 (자격) ① 초․중․고등학교 과정 구분 없이 시도별 예선경기를 통해 선발된 특수학교의 시각장애 특수교육대상학생으로 전맹과 저시력 각각 1명의 선수가 본선에 참가할 수 있다. ② 저시력 학생이 전맹 학생(또는 전맹 학생이 저시력 학생)을 대신하여 출전할 수 없다. 제2장 경기 준비 및 시작 제2조 (대진표 및 경기 시간) ① 대진표는 주최기관 및 기획·운영위원 등의 사전 추첨을 통하여 결정하며, 본·결선대회 안내 시 공개한다. ② 경기 시작 시각은 경기 진행에 따라 조정될 수 있으며 심판이 인솔자에게 사전에 안내한다. 제3조 (입장 및 점검) ① 경기장 입장 후 선수는 경기 시작 전까지 장비 및 내부적 환경 점검 시간을 가진다. 수정이 필요할 경우 경기 시작 전에 요청하여야만 한다. ② 경기를 위해 추가된 규정의 경우 심판은 선수에게 사전 공지하고 참가 선수가 동일한 규정하에 경기를 진행할 수 있도록 한다. ③ 심판은 해당 플레이어가 경기가 종료되더라도 모든 경기가 끝낼 때까지 자리에 앉아있을 수 있도록 안내한다. 제4조 (대전 방식 및 경기 세트) ① 개인전(1 vs 1)으로 진행하며 모든 경기는 단판제이다. ② 심판은 동전 던지기를 통하여 흑 돌과 백 돌을 정한다. ③ 대진표에 따라 ‘전맹 부문’과 ‘저시력 부문’으로 진행하고 결승은 각 부문 1위끼리 통합하여 진행한다. ④ 통합 결승: 각 부문의 본선 경기 설정 및 방법과 동일하게 진행한다. 제5조 (경기 설정) ① 선수명 설정: 게임방 입장 후 ‘학교명+실명’의 형태로 입력 ② 실행방법: 센스게임 프로그램 실행 → 인터넷 게임 → 방 개설 후 진행 ③ 전맹 학생은 모니터를 90도 돌린 후 경기 진행하며 회전이 어려울 경우 심판의 지시에 따라 모니터를 가리거나 전원을 끄고 진행 ④ 저시력 학생은 모니터를 보고 게임을 운영할 수 있도록 설정(잔존시력 활용) 제3장 경기 운영 제6조 (제한 시간) 1턴 당 제한 시간은 게임에서 제시된 90초이다. 경기 1턴 당 제한 시간(90초)을 3번 이상 초과하여 게임방에서 아웃되는 경우 심판은‘몰수패’를 선언하고 경기를 종료한다. 제7조 (승리 조건) ① 게임판에 자신의 돌을 가장 많이 놓는 사람을 승자로 판정한다. ② 동점일 경우에는 총량 시간을 적게 사용한 사람을 승자로 판정한다. ③ 결승전에서 동점일 경우 재경기를 진행한다. 제8조 (순위) 부문별 1위는 결승전에 진출하며 2위는 순위 결정전 없이 공동 3위로 한다. 제4장 심판 판정 제9조 (판정) ① 심판은 정확한 결과 확보를 위해 경기 종료 후 결과 화면을 캡처하여 저장한다. 대회 진행상 캡처가 어려운 경우 기록지로 대체한다. ② 경기 종료 후 심판은 기록지에 인솔자의 서명을 받아 운영 본부(심판장)에 제출한다. 제10조 (징계) 선수 및 인솔자가 아래에 해당하는 행위를 하는 경우 ‘경고’또는 ‘몰수패’징계를 내릴 수 있다. ① 경기 중 비신사적 행위의 경우 ② 경기 중 인솔자가 선수에게 직간접적으로 지도 및 지시하는 경우 ③ 고의적인 버그 사용의 경우 ④ 기타 공통 규정에 기재된 사항의 경우 ⑤ 종목별 규정에 금지된 사항 적발 경우 ⑥ 경기 중 채팅하는 경우 제11조 (재경기) ① 갑작스러운 서버 다운의 경우 ‘무효’로 판정하며 재경기를 진행한다. ② 게임 렉이 있는 경우 심판의 재량에 따라 경기를 진행하며, 게임이 불가할 정도로 심할 경우 양 선수는 합의를 거쳐서 재경기를 진행한다. ③ 경기 진행 중 알려지지 않은 버그가 발생한 경우, 경기 중인 선수나 심판이 일시 정지를 요청할 수 있으며, 상황 파악 후 심판의 판단에 따라 경기 진행 또는 재경기 여부를 결정한다. 다. 하스스톤 (특수학교: 청각장애 중·고) 하스스톤 규정은 「전국 장애학생 e페스티벌 e스포츠대회」 특수학교 청각장애 유형 중·고 과정에 적용하며, 참가 자격 및 기타 규정은 공통 규정을 준용한다. 제1장 선수의 자격 제1조 (자격) 시도별 예선경기를 통해 선발된 특수학교 중·고등학교 과정의 청각장애 특수교육대상학생만 본선에 참가할 수 있다. 제2장 경기 준비 및 시작 제2조 (대진표 및 경기 시간) ① 대진표는 주최기관 및 기획·운영위원 등의 사전 추첨을 통하여 결정하며, 본·결선대회 안내 시 공개한다. ② 경기 시작 시각은 경기 진행에 따라 조정될 수 있으며 심판이 인솔자에게 사전에 안내한다. 제3조 (덱 설정 및 제출) ① 선수는 대회 참가를 위해 3개의 직업으로 각 1개씩 총 3개의 대회용 덱을 구성하며 덱 이름을 학교명 학생 명(1~3)으로 바꾸어 저장한다. ※ 예) 가나학교 김다라(1), 가나학교 김다라(2), 가나학교 김다라(3) ② 심판은 경기 전 미리 제출된 덱을 비교, 확인한다. 제4조 (입장 및 점검) ① 경기장 입장 후 선수는 경기 시작 전까지 장비 및 내부적 환경 점검 시간을 가진다. 수정이 필요할 경우 경기 시작 전에 요청하여야만 한다. ② 게임사 업데이트 등의 사유로 ‘야생전 덱’이 포함된 선수는 경기 시작 전 ‘정규전 덱’으로 변경할 기회를 1회만 갖는다. 이때 시간은 최대 5분이다. ③ 경기를 위해 추가된 규정의 경우 심판은 선수에게 사전 공지하고 참가 선수가 동일한 규정하에 경기를 진행할 수 있도록 한다. 제5조 (대전 방식 및 경기 세트) 개인전(1 vs 1)으로 진행하며 모든 경기는 3세트 2선승제이다. 제6조 (경기 설정) ① 대회용 기기: 안드로이드 기반의 태블릿 PC 사용 ② 계정: 개인 계정 사용(심판이 대회용 계정 제공하는 경우 대회용 계정 사용) ③ 대전 모드: 정규 친선전(2년 이내에 출시된 카드만 사용) ④ 덱 구성: 정규 덱 사용(야생 덱 금지), 대회 시작에 설정한 덱은 대회 종료까지 수정 불가 ⑤ 경기방식: 각 세트 승자의 경우 이전 세트에서 승리한 덱은 더 이상 사용할 수 없으며, 미리 제출한 다른 덱을 사용해야 한다. 패자의 경우 동일한 덱을 그대로 사용하거나 승리가 없는 다른 덱으로 교체할 수 있다. 제3장 경기 운영 제7조 (경기 종료 조건) ① 각 세트의 승패 결정은 상대방 영웅의 사망 혹은 상대 선수의 항복 선언으로 한다. ② 두 선수의 영웅이 동시에 사망하는 경우 해당 경기는‘무승부’로 처리하고, 동일한 덱으로 ‘재경기’를 진행한다. 제8조 (순위) ① 4강전 운영이 가능한 경우 4강전에 진출한 선수 중 승리 선수는 결승전에 올라가고 패한 선수는 순위 결정전 없이 공동 3위로 한다. ② 4강전 운영이 불가한 경우 리그전을 운영하여 승점이 높은 순서로 순위를 결정한다. ③ 승점이 동일한 경우 다음과 같은 순서로 순위를 정한다. 가. 세트 득실 차가 높은 선수 나. 경기 결과 세트별 잔여 HP의 총합이 높은 선수 다. 승자 승(순위를 정하지 못한 해당 선수 간의 상대 전적이 우수한 선수) 라. 생년월일이 가장 늦은 선수 제4장 심판 판정 제9조 (판정) ① 심판은 정확한 결과 확보를 위해 경기 종료 후 결과 화면을 캡처하여 저장한다. 대회 진행상 캡처가 어려운 경우 기록지로 대체한다. ② 경기 종료 후 심판은 기록지에 인솔자의 서명을 받아 운영 본부(심판장)에 제출한다. 제10조 (징계) 선수 및 인솔자가 아래에 해당하는 행위를 하는 경우 ‘경고’또는 ‘몰수패’징계를 내릴 수 있다. ① 경기 중 비신사적 행위의 경우 ② 경기 중 인솔자가 선수에게 직간접적으로 지도 및 지시하는 경우 ③ 고의적인 버그 사용의 경우 ④ 기타 공통 규정에 기재된 사항의 경우 ⑤ 종목별 규정에 금지된 사항 적발 경우 ⑥ 선수가 고의로 무승부를 만들 때 해당 세트는 ‘몰수패’판정을 내리며, 고의 여부는 심판의 보고로 심판장 및 운영위원회에서 결정 ⑦ 개인 계정을 준비하지 못하거나 정규전 방식의 대전 모드를 실행할 수 없는 계정으로 대회에 참가한 선수의 경우 ‘몰수패’ 판정 ⑧ 제출된 대회용 덱 이외의 카드로 수정하는 행위 발각 시‘몰수패’ 판정 제11조 (재경기) ① 경기 중 서버다운, 접속종료 등으로 인해 경기의 진행이 불가한 경우, 심판은‘재경기’판정을 내린다. ② 재경기의 경우 원인 해결 후 동일한 덱으로 처음부터 다시 진행한다. ③ 경기 진행 중 알려지지 않은 버그가 발생하였을 때 경기 중인 선수나 심판이 경기 일시 정지를 요청할 수 있으며, 상황 파악 후 심판의 판단에 따라 경기 진행 또는 재경기 여부를 결정한다. 라. 마구마구 리마스터 (특수학교: 지체장애 중·고) 마구마구 리마스터 규정은 「전국 장애학생 e페스티벌 e스포츠대회」특수학교 지체장애 중·고 과정에 적용하며, 참가 자격 및 기타 규정은 공통 규정을 준용한다. 제1장 선수의 자격 제1조 (자격) 시도별 예선경기를 통하여 선발된 특수학교 중·고등학교 과정의 지체장애 특수교육대상 학생만 본선에 참가할 수 있다. 제2조 (팀 구성) 선수의 자격에 적합한 동일교 소속 특수교육대상학생 2인으로 구성한다. 제2장 경기 준비 및 시작 제3조 (대진표 및 경기 시간) ① 대진표는 주최기관 및 기획·운영위원 등의 사전 추첨을 통하여 결정하며, 본·결선대회 안내 시 공개한다. ② 경기 시작 시각은 경기 진행에 따라 조정될 수 있으며 심판이 인솔자에게 사전에 안내한다. 제4조 (입장 및 점검) ① 경기장 입장 후 선수는 경기 시작 전까지 장비 및 내부적 환경 점검 시간을 가진다. 수정이 필요할 경우 경기 시작 전에 요청하여야만 한다. ※ 장비 변경이 필요한 경우 인솔자가 설치 ② 경기를 위해 추가된 규정의 경우 심판은 선수에게 사전 공지하고 참가 선수가 동일한 규정하에 경기를 진행할 수 있도록 한다. 제5조 (대전 방식 및 경기 세트) ① 팀전(2 vs 2)으로 진행하며 모든 경기는 단판제이다. ② 심판은 동전 던지기를 통하여 홈/어웨이를 정한다. 제6조 (경기 설정) ① 계정: 대회용 계정 사용 ② 실행: 마구마구 리마스터 공식사이트(http://ma9.netmarble.net) 접속 후 [게임스타트] 실행 ③ 게임방 설정: [경기모드 : 일반경기] - [경기종류 : 초청경기] - [경기인원 : 다대다] - [경기이닝 : 6이닝] 진행 ④ 선수 카드: 지급된 카드만 사용, 선수 카드의 조합 및 판매 금지 ⑤ 아이템: 제공된‘체력 회복 아이템’외 다른 아이템 사용 금지(기능 아이템 장착 금지) ⑥ 장비: 장비 장착 금지 ⑦ 선발투수: 팀원 간 동일한 선발투수를 사용할 수 없음 ⑧ 구장: ‘ALL 랜덤구장’에서 진행 ⑨ 자동 투구, 자동수비: 끄기 제3장 경기 운영 제7조 (경기 진행) ① 각 경기는 6이닝으로 진행한다. ② 팀원 간 투수교체는 실점마다 시행한다. ③ 구원(후보) 투수 및 타자의 교체는 총 타임 10, 이닝 타임 6회(선수마다 총 타임5, 이닝타임 3회) 이내에서 수행할 수 있다. ④ 특수교육대상학생의 자주적인 플레이를 위해 경기 중 팀원 간 대화 및 지시를 금지한다. 제8조 (승리 조건) ① 6이닝 종료 후 득점에 따라 승패를 결정한다. ② 동점일 경우 연장전을 진행하며 연장전은 15회까지로 제한한다. ③ 연장전에서 승패가 결정되지 않을 때 안타 수가 많은 팀을 승리 팀으로 결정한다. 제9조 (콜드게임) 해당 이닝에서 10점 차 발생의 경우 콜드게임으로 승패를 결정하고 종료한다. 제10조 (순위) ① 4강전 운영이 가능한 경우 4강전에 진출한 팀 중 승리팀은 결승전에 올라가고, 패한 팀은 순위 결정전 없이 공동 3위로 한다. ② 4강전 운영이 불가한 경우 리그전을 운영하여 승점이 높은 순서로 순위를 결정한다. ③ 승점이 동일한 경우 다음과 같은 순서로 순위를 정한다. 가. 득실 차가 높은 팀 나. 다득점인 팀(단, 동점으로 인한 연장 이닝에서 득점한 점수 제외) 다. 승자 승(순위를 정하지 못한 해당 팀 간의 상대 전적이 우수한 팀) 라. 생년월일이 가장 늦은 선수가 포함된 팀 제4장 심판 판정 제11조 (판정) ① 심판은 정확한 결과 확보를 위해 경기 종료 후, 결과 화면을 캡처하여 저장한다. 대회 진행상 캡처가 어려운 경우 기록지로 대체한다. ② 경기 종료 후 심판은 기록지에 인솔자의 서명을 받아 운영 본부(심판장)에 제출한다. 제12조 (징계) 선수 및 인솔자가 아래에 해당하는 행위를 하는 경우 ‘경고’또는 ‘몰수패’징계를 내릴 수 있다. ① 경기 중 비신사적 행위의 경우, 특히 내외야 플라이의 공을 일부러 잡지 않고 병살을 유도하는 경우(고의 낙구) ② 경기 중 인솔자가 선수에게 직간접적으로 지도 및 지시하는 경우 ③ 고의적인 버그 사용의 경우 ④ 기타 공통 규정에 기재된 사항의 경우 ⑤ 종목별 규정에 금지된 사항 적발 경우 제13조 (재경기) ① 갑작스러운 서버다운 시, 바로 이전 경기의 점수는 인정되며 6이닝 기준으로 남은 이닝 수만큼 경기를 다시 진행한다. (예: 4이닝 초/말에 서버다운 발생 시, 3이닝 말까지 점수가 인정되며, 새로 방을 만들어서 3이닝만 추가로 진행함) ② 게임렉이나 튕기는 현상이 있는 경우, 심판의 재량에 따라 경기를 진행하며 게임이 불가할 정도로 심할 경우, 양 팀은 합의한 다음 대기실을 다시 생성하여 재경기를 진행한다. 단, 재경기의 경우, 3이닝 전에 결정해야 하며 이후 이의 제기 신청은 접수되지 않는다. ③ 서버다운 및 비정상종료 현상이 발생하여 재경기를 진행하게 될 경우, 스펠 카드, 선수 카드 정비 행위를 금하며, 적발 시 ‘경고’ 또는 ‘몰수패’ 처리될 수 있다. ④ 경기 진행 중 알려지지 않은 버그가 발생한 경우, 경기 중인 선수나 심판이 일시 정지를 요청할 수 있으며, 상황 파악 후 심판의 판단에 따라 진행 또는 재경기 여부를 결정한다. 마. 모두의마블 (특수학급: 발달장애 초등) 모두의마블 규정은 「전국 장애학생 e페스티벌 e스포츠대회」 특수학급 통합 부문 초등학교 과정에 적용하며, 참가 자격 및 기타 규정은 공통 규정을 준용한다. 제1장 선수의 자격 제1조 (자격) 시도별 예선경기를 통해 선발된 초등학교 과정의 특수학급 발달장애 특수교육대상학생과 함께 구성된 팀 구성원만 본선에 참가할 수 있다. 제2조 (팀 구성) 선수의 자격에 적합한 특수교육대상학생 1명과 동일교 소속 일반학생 1명으로 구성한다. 제2장 경기 준비 및 시작 제3조 (대진표 및 경기 시간) ① 대진표는 주최기관 및 기획·운영위원 등의 사전 추첨을 통하여 결정하며, 본·결선대회 안내 시 공개한다. ② 경기 시작 시각은 경기 진행에 따라 조정될 수 있으며 심판이 인솔자에게 사전에 안내한다. 제4조 (입장 및 점검) ① 경기장 입장 후 선수는 경기 시작 전까지 장비 및 내부적 환경 점검 시간을 가진다. 수정이 필요할 경우 경기 시작 전에 요청하여야만 한다. ② 경기를 위해 추가된 규정의 경우 심판은 선수에게 사전 공지하고 참가 선수가 동일한 규정하에 경기를 진행할 수 있도록 한다. 제5조 (대전 방식 및 경기 세트) 팀전(2 vs 2)으로 진행하며 모든 경기는 단판제이다. 제6조 (경기 설정) ① 대회용 기기: 안드로이드 기반의 태블릿 PC 사용 ② 계정: 개인 계정 사용(심판이 대회용 계정 제공하는 경우 대회용 계정 사용) ③ 맵: 월드맵(※게임 업데이트 시 맵과 시작 마블의 경우 변동 가능) ④ 게임방 설정: [리그 서버]-[퍼스트리그]-[친선전] ⑤ 캐릭터: A+ 등급 이하의 캐릭터 중 원하는 캐릭터 카드 사용하며 카드 강화 및 카드 합성은 금지 ※ 지역별 예선에 따라 4인 모두 동일한 등급 캐릭터(예:‘B스티브’등)면 경기 진행 가능 ⑥ 주사위: ‘기본 주사위’사용 ⑦ 게임 시작 전 ‘홀/짝 아이템’, ‘주사위 더블’, ‘천사 카드’는 장착할 수 있으나, [내 아이템] - [행운 아이템]은 장착 금지 제3장 경기 운영 제7조 (경기 진행) ① 대출권 사용, 자동 플레이, 도시 추천, 픽(팀원이 건설지 선정 또는 세계여행 여행지를 추천해주는 선택)을 금지한다. ② 특수교육대상학생의 자주적인 플레이를 위해 경기 중 팀원 간 대화 및 지시를 금지한다. 제8조 (승리 조건) ① 상대 팀원이 모두 파산하면 경기는 종료된다. ② 플레이어 중 누군가가 승리 독점 규칙을 달성하면 경기는 종료된다. ※ 승리 독점 규칙 - 트리플 독점 : 컬러독점을 세 곳 이상 소유하면 경기 승리 - 라인 독점 : 보드판 4면 중 한 면의 도시를 모두 소유하면 경기 승리 - 관광지 독점 : 해변/섬 관광지를 모두 소유하면 경기 승리 ③ 제한 시간이나 턴이 종료되어 승패를 판정할 때는 개인 순위 1위가 속해있는 팀이 승리한다. 제9조 (순위) ① 4강전 운영이 가능한 경우 4강전에 진출한 팀 중 승리 팀은 결승전에 올라가고 패한 팀은 순위 결정전 없이 공동 3위로 한다. ② 4강전 운영이 불가한 경우 리그전을 운영하여 승점이 높은 순서로 순위를 결정한다. ③ 승점이 동일한 경우 다음과 같은 순서로 순위를 정한다. 가. 독점 승리가 많은 팀 나. 승자승(순위를 정하지 못한 해당 팀 간의 상대 전적이 우수한 팀) 다. 생년월일이 가장 늦은 선수가 포함된 팀 제4장 심판 판정 제10조 (판정) ① 심판은 정확한 결과 확보를 위해 경기 종료 후, 결과 화면을 캡처하여 저장한다. 대회 진행상 캡처가 어려운 경우 기록지로 대체한다. ② 경기 종료 후 기록지에 인솔자의 서명을 받아 운영 본부(심판장)에 제출한다. 제11조 (징계) 선수 및 인솔자가 아래에 해당하는 행위를 하는 경우 ‘경고’또는 ‘몰수패’징계를 내릴 수 있다. ① 경기 중 비신사적 행위의 경우 ② 경기 중 인솔자가 선수에게 직간접적으로 지도 및 지시하는 경우 ③ 고의적인 버그 사용의 경우 ④ 기타 공통 규정에 기재된 사항의 경우 ⑤ 종목별 규정에 금지된 사항 적발 경우 제12조 (재경기) ① 갑작스러운 정전 및 기기의 문제로 경기가 중단되고 자동 플레이가 실행된 경우 심판의 지시에 따라 ‘재접속 플레이(1회 한정)’또는‘재경기’를 진행한다. ② 경기 진행 중 기기 문제 등 예측되지 않은 상황으로 경기가 중단된 경우, 경기 중인 선수나 심판이 일시 정지를 요청할 수 있으며 상황 파악 후 심판의 판단에 따라 경기 진행 또는 재경기 여부를 결정한다. 바. 팀파이트 택틱스 (특수학급: 발달장애 중·고) 팀파이트 택틱스 규정은 「전국 장애학생 e페스티벌 e스포츠대회」특수학급 통합 부문 중·고 과정에 적용하며, 참가 자격 및 기타 규정은 공통 규정을 준용한다. 제1장 선수의 자격 제1조 (자격) 시도별 예선경기를 통해 선발된 중‧고등학교 과정의 특수학급 발달장애 특수교육대상학생과 함께 구성된 팀 구성원만 본선에 참가할 수 있다. 제2조 (팀 구성) 선수의 자격에 적합한 특수교육대상학생 1명과 동일교 소속 일반학생 1명으로 구성한다. 제2장 경기 준비 및 시작 제3조 (대진표 및 경기 시간) ① 대진표는 주최기관 및 기획·운영위원 등의 사전 추첨을 통하여 결정하며, 본·결선대회 안내 시 공개한다. ② 경기 시작 시각은 경기 진행에 따라 조정될 수 있으며 심판이 인솔자에게 사전에 안내한다. 제4조 (입장 및 점검) ① 경기장 입장 후 선수는 경기 시작 전까지 장비 및 내부적 환경 점검 시간을 가진다. 수정이 필요할 경우 경기 시작 전에 요청하여야만 한다. ② 경기를 위해 추가된 규정의 경우 심판은 선수에게 사전 공지하고 참가 선수가 동일한 규정하에 경기를 진행할 수 있도록 한다. 제5조 (대전 방식 및 경기 세트) ① 팀전(2 vs 2 vs 2 vs 2)으로 진행하며 모든 경기는 단판제이다. ② 8명이 참여해야 진행할 수 있는 종목이므로 참여 인원 부족 시 운영위원이 참여하며 운영위원은 플레이하지 않는다. 제6조 (경기 설정) ① 경기 설정: 대회용 기기: cpu i5급 이상, 그래픽카드 Geforce 560급 이상의 PC ② 계정: 개인 계정 사용(심판이 대회용 계정 제공하는 경우 대회용 계정 사용) ③ 실행: [플레이] - [일반] - [시작] 경기를 진행 ④ 전략가: 경기에 영향을 미치지 않기 때문에 전략가 선택에 제한 없음 ⑤ 결투장: 경기에 영향을 미치지 않기 때문에 결투장 선택에 제한 없음 ⑥ 펑펑 효과: 경기에 영향을 미치지 않기 때문에 결투장 펑펑 효과에 제한 없음 ⑦ 게임사 업데이트에 따라서 시즌이 변경되며, 대회 당일 운영 중인 시즌의 캐릭터로 대회 운영 제3장 경기 운영 제7조 (경기 진행) ① 각 경기는 1등부터 8등까지 모든 등수가 정해지고 최후의 1인이 남을 때까지 경기를 진행한다. ② 특수교육대상학생의 자주적인 플레이를 위해 경기 중 모든 대화, 게임 내 이모티콘 사용 등 팀 내 직‧간접적인 지시를 금지한다. ③ 경기가 끝나기 전 HP가 모두 소모되더라도 경기가 끝날 때까지 경기장 내 제자리에 유지하고, 경기가 끝난 후 심판의 지시에 따라 대기 좌석으로 돌아간다. 제8조 (승리 조건) ① 각 경기에서 오래 살아남은 순서대로 순위가 정해지고 가장 오래 살아남은 학생을 1등으로 한다. ※ 단 여러 플레이어가 동시에 HP가 모두 소모되어 경기가 끝난 경우, HP가 높은 순서대로 등수를 정한다. ② 각 경기의 등수에 해당하는 점수를 부여한다. ※ 1등 10점, 2등 9점, 3등 7점, 4등 6점, 5등 4점, 6등 3점, 7등 2점, 8등 1점 ※ 특수학급 학생이 경기에 미치는 영향을 확대하기 위해 특수학급 학생에게는 등수 점수의 2배를 부여한다. ③ 팀원의 점수를 합산하여 합산한 점수가 높은 팀이 승리한다. ※ 합산 점수가 동일한 경우 최고등수가 높은 팀이 승리하는 것으로 한다. 제9조 (순위) ① 본선 대회 예선전을 통해 16개의 팀을 선별하여 16강부터 진행하며 16개 팀 미만이 참여할 경우 참여 규모에 따라 추첨을 통해 대진표 구성하여 운영한다. ② 16강에서 이긴 2개 팀이 8강(준결승)에 진출하고 8강(준결승)에서 이긴 2개 팀이 결승에 진출한다. ③ 결승전 순위에 따라 1~4위를 정한다. 제4장 심판 판정 제10조 (판정) ① 심판은 정확한 결과 확보를 위해 경기 종료 후, 결과 화면을 캡처하여 저장한다. 대회 진행상 캡처가 어려운 경우 기록지로 대체한다. ② 경기 종료 후 기록지에 인솔자의 서명을 받아 운영 본부(심판장)에 제출한다. 제11조 (징계) 선수 및 인솔자가 아래에 해당하는 행위를 하는 경우 ‘경고’또는 ‘몰수패’징계를 내릴 수 있다. ① 경기 중 비신사적 행위의 경우 ② 경기 중 인솔자가 선수에게 직간접적으로 지도 및 지시하는 경우 ③ 고의적인 버그 사용의 경우 ④ 기타 공통 규정에 기재된 사항의 경우 ⑤ 종목별 규정에 금지된 사항 적발 경우 제12조 (재경기) ① 갑작스러운 정전 및 기기의 문제로 경기가 중단되고 자동 플레이 실행된 경우 심판의 지시에 따라 ‘재접속 플레이(1회 한정)’또는‘재경기’를 진행한다. ② 경기 진행 중 기기 문제 등 예측되지 않은 상황으로 경기가 중단된 경우, 경기 중인 선수나 심판이 일시 정지를 요청할 수 있으며 상황 파악 후 심판의 판단에 따라 경기 진행 또는 재경기 여부를 결정한다. 사. 클래시로얄 (특수학급: 지체 장애 초·중·고) 클래시로얄 규정은 「전국 장애학생 e페스티벌 e스포츠대회」특수학급 통합 부문 초·중·고 과정에 적용하며, 참가 자격 및 기타 규정은 공통 규정을 준용한다. 제1장 선수의 자격 제1조 (자격) 초․중․고등학교 과정 구분 없이 시도별 예선경기를 통해 선발된 특수학급 지체장애 특수교육대상학생과 함께 구성된 팀 구성원만 참가할 수 있다. 제2조 (팀 구성) 선수의 자격에 적합한 특수교육대상학생 1명과 동일교 소속 일반학생 1명으로 구성한다. 제2장 경기 준비 및 시작 제3조 (대진표 및 경기 시간) ① 대진표는 주최기관 및 기획·운영위원 등의 사전 추첨을 통하여 결정하며, 본·결선대회 안내 시 공개한다. ② 경기 시작 시각은 경기 진행에 따라 조정될 수 있으며 심판이 인솔자에게 사전에 안내한다. 제4조 (입장 및 점검) ① 경기장 입장 후 선수는 경기 시작 전까지 장비 및 내부적 환경 점검 시간을 가진다. 수정이 필요할 경우 경기 시작 전에 요청하여야만 한다. ② 경기를 위해 추가된 규정의 경우 심판은 선수에게 사전 공지하고 참가 선수가 동일한 규정하에 경기를 진행할 수 있도록 한다. 제5조 (대전 방식 및 경기 세트) 팀전(2 vs 2)으로 진행하며 모든 경기는 3세트 2선승제이다. 제6조 (경기 설정) ① 대회용 기기: 안드로이드 기반의 태블릿 PC 사용 ② 계정: 개인 계정 사용(심판이 대회용 계정 제공하는 경우 대회용 계정 사용) ③ 실행: [클랜 메뉴] - [클랜 가입] - [클랜 친선전(2vs2) 전투] 경기를 진행 ※ 지역별 예선은 별도의 클랜 생성 및 가입을 통해 진행한다.(예: 클랜 명-서울예선1~5 등) ④ 덱구성: 아레나 9 이하의 카드만 사용 가능(대회 당일 업데이트된 최신버전 기준 따름) ※ 아레나 9 초과 카드 사용은 대전상대의 이의 제기에 따라 심판이 덱 구성 확인 후 징계한다. ⑤ 진화 카드는 사용금지, 타워 카드는 타워 프린세스 혹은 대포 사수만 사용 가능 제3장 경기 운영 제7조 (경기 진행) ① 매 세트 시작 전까지 선수는 전투 덱을 재설정 할 수 있다. 단 고의로 경기를 방해하기 위한 것으로 판단되는 경우 심판은 ‘주의’, ‘경고’를 판정할 수 있다. ② 특수교육대상학생의 자주적인 플레이를 위해 경기 중 모든 대화, 게임 내 이모티콘 사용, 팀 내 직간접적인 지시를 금지한다. 단, 덱 설정 시간에는 팀원 간 상의가 가능하다. 제8조 (경기 종료 조건) ① 시간 내 상대보다 많은 크라운 타워를 부수거나 킹 타워를 부수면 승리한다. ② 서든 데스 연장전 중에 먼저 타워를 부수면 승리한다. 제9조 (순위) ① 4강전 운영이 가능한 경우 4강전에 진출한 팀 중 승리 팀은 결승전에 올라가고, 패한 팀은 순위 결정전 없이 공동 3위로 한다. ② 4강전 운영이 불가한 경우 리그전을 운영하여 승점이 높은 순서로 순위를 결정한다. ③ 승점이 동일한 경우 다음과 같은 순서로 순위를 정한다. 가. 세트 득실 차가 높은 팀 나. 타워 득실 차가 높은 팀 다. 승자승(순위를 정하지 못한 해당 팀 간의 상대 전적이 우수한 팀) 라. 생년월일이 가장 늦은 선수가 포함된 팀 제4장 심판 판정 제10조 (판정) ① 심판은 정확한 결과 확보를 위해 경기 종료 후, 결과 화면을 캡처하여 저장한다. 대회 진행상 캡처가 어려운 경우 기록지로 대체한다. ② 경기 종료 후 기록지에 인솔자의 서명을 받아 운영 본부(심판장)에 제출한다. 제11조 (징계) 선수 및 인솔자가 아래에 해당하는 행위를 하는 경우 ‘경고’또는 ‘몰수패’징계를 내릴 수 있다. ① 경기 중 비신사적 행위의 경우 ② 경기 중 인솔자가 선수에게 직간접적으로 지도 및 지시하는 경우 ③ 고의적인 버그 사용의 경우 ④ 기타 공통 규정에 기재된 사항의 경우 ⑤ 종목별 규정에 금지된 사항 적발 경우 ⑥ ‘아레나 9’초과의 카드를 사용하여 경기하는 경우 제12조 (재경기) ① 갑작스러운 정전 및 기기의 문제로 경기가 중단된 경우, 진행 중이던 경기의 점수는 인정하지 않으며, ‘재경기’를 실시한다. ② 고의로 경기를 중단시킨 경우, 상황 파악 후 심판의 판단에 따라 ‘몰수패’ 또는 ‘재경기’ 여부를 결정한다. 아. 스위치 볼링 (특수학교(급): 중도중복장애 초·중·고) 스위치 볼링 규정은 「전국 장애학생 e페스티벌 e스포츠대회」 특수학교(급) 중도중복장애 유형 초·중·고 과정에 적용하며, 참가 자격 및 기타 규정은 공통 규정을 준용한다. 제1장 선수의 자격 제1조 (자격) ① 초․중․고등학교 과정 구분 없이 시도별 예선경기를 통해 선발된 특수학교(급)의 중도중복장애 특수교육대상학생만 본선에 참가할 수 있다. ② 특수학교 출전 선수의 경우 특수학교 1교에서 다른 종목 출전과 별도로 스위치 볼링 종목 선수를 출전시킬 수 있다. ③ 장애가 두 가지(지적장애와 지체 장애 필수) 또는 그 이상 중복해 있는 학생으로 독립보행이 어려워 보조기구를 이용하거나 상지마비, 하지마비 혹은 편마비를 동반한 학생이며 보조공학기기(스위치)를 사용하고 있는 학생만 참가할 수 있다. 제2장 경기 준비 및 시작 제2조 (대진표 및 경기 시간) ① 대진표는 주최기관 및 기획·운영위원 등의 사전 추첨을 통하여 결정하며 본·결선대회 안내 시 공개한다. ② 경기 시작 시각은 경기 진행에 따라 조정될 수 있으며 심판이 인솔자에게 사전에 안내한다. 제3조 (입장 및 점검) ① 경기장 입장 후 선수는 경기 시작 전까지 장비 및 내부적 환경 점검 시간을 가진다. 수정이 필요할 경우 경기 시작 전에 요청하여야만 한다. ② 경기를 위해 추가된 규정의 경우 심판은 선수에게 사전 공지하고 참가 선수가 동일한 규정하에 경기를 진행할 수 있도록 한다. 제4조 (대전 방식 및 경기 세트) ① 개인전(1 vs 1)으로 진행하며 모든 경기는 단판제이다. ② 1세트는 10프레임이다. ③ 점수 합산 방식으로 승패를 결정한다. 제5조 (경기 설정) ① 실행: Switch in time사(http://www.switchintime.com/) Switch Lanes 볼링 프로그램을 PC에 설치한 후 개인 스위치(또는 대회 제공 스위치)를 연결하여 경기 진행 ② 게임 설정: 모드-standard, 스피드-fast, 스핀-Random spin ③ 스위치: 개인의 장애정도에 적합하게 준비한 개별 장비(스위치)를 사용 제3장 경기 운영 제6조 (건강 관리) 경기 중 선수 건강상의 문제나 신변처리가 필요한 경우 선수 또는 인솔자는 경기 중단 요청할 수 있으며 심판은 ‘일시 중단’명령을 내려 경기를 중단시킨 뒤 조처를 한다. 제7조 (경기 진행) ① 선수는 각자의 컨디션에 따라 제한 시간에 맞춰 10프레임까지 경기를 진행한다. ※ 1턴당 제한 시간은 30초 ② 1~9프레임: 한 프레임당 최대 2턴을 진행한다. ③ 10프레임: 스트라이크 및 스페어 처리 시 최대 3턴을 진행한다. ④ 10프레임까지 마친 선수는 상대 선수가 경기를 마칠 때까지 제자리에서 대기한다. ⑤ 양 선수의 점수를 비교하여 승패를 결정한다. 제8조 (가점) ‘어깨 포함 어깨 위’의 신체 부위로 스위치를 사용하면 심판은 해당 선수의 최종 점수에 가점 30점을 부여한다. 제9조 (승리 조건) ① 1세트 10프레임 종료 후 점수가 높은 선수가 승리한다. ② 동점의 경우 스트라이크 횟수, 스페어 처리 프레임이 많은 순으로 순위를 결정하되 이 또한 동일한 경우 재경기를 진행한다. 재경기는 1프레임씩 진행하고 해당 프레임 종료 후 고득점 선수가 승리한다. 제10조 (순위) ① 4강전 운영이 가능한 경우 4강전에 진출한 선수 중 승리 선수는 결승전에 올라가고 패한 선수는 순위 결정전 없이 공동 3위로 한다. ② 4강전 운영이 불가한 경우 리그전을 운영하여 승점이 높은 순서로 순위를 결정한다. ③ 승점이 동일한 경우 다음과 같은 순서로 순위를 정한다. 가. 다득점인 선수(단, 동점으로 인한 재경기 프레임에서 획득한 점수 제외) 나. 스트라이크가 많은 선수 다. 스페어 처리가 많은 선수 라. 승자 승(순위를 정하지 못한 해당 선수 간의 상대 전적이 우수한 선수) 마. 생년월일이 가장 늦은 선수 제4장 심판 판정 제11조 (판정) ① 심판은 정확한 결과 확보를 위해 경기 종료 후, 결과 화면을 캡처하여 저장한다. 대회 진행상 캡처가 어려운 경우 기록지로 대체한다. ② 경기 종료 후 기록지에 인솔자의 서명을 받아 운영 본부(심판장)에 제출한다. ③ 제한 시간을 5회 이상 초과한 선수에게는 심판이 ‘주의’, ‘경고’를 판정할 수 있다. 제12조 (징계) 선수 및 인솔자가 아래에 해당하는 행위를 하는 경우, ‘경고’또는 ‘몰수패’징계를 내릴 수 있다. ① 경기 중 비신사적 행위의 경우 ② 경기 중 인솔자가 선수에게 직간접적으로 지도 및 지시하는 경우 ③ 고의적인 버그 사용의 경우 ④ 기타 공통 규정에 기재된 사항의 경우 ⑤ 종목별 규정에 금지된 사항 적발 경우 제13조 (재경기) ① 갑작스러운 정전 및 기기의 문제로 경기가 중단된 경우, 진행 중이던 경기의 점수는 인정되며 남은 프레임 수만큼 경기를 다시 진행한다. ※ 예: 7프레임 초/말에 서버 다운 발생 시, 6프레임까지 점수가 인정되며 남은 4프레임만 추가로 진행함 ② 경기 진행 중 기기 문제 등 예측되지 않은 상황으로 경기가 중단된 경우, 경기 중인 선수나 심판이 일시 정지를 요청할 수 있으며 상황 파악 후 심판의 판단에 따라 경기 진행 또는 재경기 여부를 결정한다. 자. 폴가이즈 (특수학교(급): 의사소통, 발달지체, 학습장애) 폴가이즈 규정은 「전국 장애학생 e페스티벌 e스포츠대회」 특수학교(급) 의사소통, 발달지체, 학습장애 초·중·고 과정에 적용하며, 참가 자격 및 기타 규정은 공통 규정을 준용한다. 제1장 선수의 자격 제1조 (자격) ① 초․중․고등학교 과정 구분 없이 시도별 예선경기를 통해 선발된 특수학교(급)의 의사소통, 발달지체, 학습장애 특수교육대상학생만 본선에 참가할 수 있다. ② 특수학교 출전 선수의 경우 특수학교 1교에서 다른 종목 출전과 별도로 폴가이즈 종목 선수를 출전시킬 수 있다. ③ 발달지체학생은 2025년 3월 기준으로 참가 자격을 부여한다. ※ 만 9세의 특수교육대상자가 2025년 3월 기준 발달지체 학생이라면 대회 당일 기준 지적장애, 자폐성 장애로 판정받았을지라도 참가 자격을 부여 제2장 경기 준비 및 시작 제2조 (대진표 및 경기 시간) ① 대진표는 주최기관 및 기획·운영위원 등의 사전 추첨을 통하여 결정하며, 본·결선대회 안내 시 공개한다. ② 경기 시작 시각은 경기 진행에 따라 조정될 수 있으며 심판이 인솔자에게 사전에 안내한다. 제3조 (입장 및 점검) ① 경기장 입장 후 선수는 경기 시작 전까지 장비 및 내부적 환경 점검 시간을 가진다. 수정이 필요할 경우 경기 시작 전에 요청하여야만 한다. ② 경기를 위해 추가된 규정의 경우 심판은 선수에게 사전 공지하고 참가 선수가 동일한 규정하에 경기를 진행할 수 있도록 한다. 제4조 (대전 방식 및 경기 세트) 개인전(1 vs 1)으로 진행하며 모든 경기는 5세트 3선승제이다. 제5조 (경기 설정) ① 경기 설정: 대회용 기기: cpu i5급 이상, 그래픽카드 GTX 660급 or Radeon HD 7950 이상의 PC, 키보드 사용(패드 사용금지) ② 계정: 개인 계정 사용 ③ 실행: [쇼 선택] - [커스텀쇼] - [참가] - 코드 입력 ④ 경기맵: 솔로 방식(레이스, 크라운잡기, 생존, 사냥 등 다양한 맵 등장) ⑤ 캐릭터: 캐릭터 꾸미기는 경기에 영향을 미치지 않기 때문에 자유롭게 설정 가능 제3장 경기 운영 제6조 (경기 진행) ① 2명의 선수는 [솔로] 방식으로 경기를 진행한다. ② [솔로] 방식에 나오는 유형은 다음과 같다. 가. 레이스 – 제한 시간 내에 결승선에 도달하면 승리하는 방식 나. 크라운 잡기 – 제한 시간 내에 결승선에 있는 크라운을 먼저 잡으면 승리하는 방식 다. 생존 – 제한 시간 동안 마지막까지 살아남은 선수가 승리하는 방식 라. 사냥 – 맵에 있는 오브젝트를 획득하거나, 통과하거나, 일정 시간에 머물러야 하는 방식 ③ 3번의 승리를 먼저 한 선수가 승리한다. ④ 한 세트에서 두 명의 선수 모두 제한 시간(5분)을 초과한 경우에는 무승부로 하고, 양 선수 모두에게 1점을 부여한다. ⑤ 만약 2대2 동점의 상황에서 무승부가 발생할 시 재경기를 실시한다. 제7조 (게임 종료 조건) ① 모든 경기는 제한 시간 5분이 있으며 5분이 지나면 경기는 종료된다. ② 각 유형의 게임 종료 조건은 다음과 같다. 가. 레이스 – 둘 중 한 선수가 먼저 결승선에 도달하면 게임은 종료된다. 나. 크라운 잡기 – 둘 중 한 선수가 결승선에 있는 크라운을 먼저 잡으면 게임은 종료된다. 다. 생존 – 둘 중 한 선수가 경기장 밖으로 나가면 게임은 종료된다. 라. 사냥 – 둘 중 한 선수가 목표 점수를 완료하였으면 게임은 종료된다. 제8조 (순위) ① 4강전 운영이 가능한 경우 4강전에 진출한 선수 중 승리 선수는 결승전에 올라가고 패한 선수는 순위 결정전 없이 공동 3위로 한다. ② 4강전 운영이 불가한 경우 리그전을 운영하여 승점이 높은 순서로 순위를 결정한다. ③ 승점이 동일한 경우 다음과 같은 순서로 순위를 정한다. 가. 세트 득실 차가 높은 선수 나. 다득점인 선수 다. 승자승(순위를 정하지 못한 해당 선수 간의 상대 전적이 우수한 선수) 라. 생년월일이 가장 늦은 선수 제4장 심판 판정 제9조(판정) ① 심판은 정확한 결과 확보를 위해 경기 종료 후, 결과 화면을 캡처하여 저장한다. 대회 진행상 캡처가 어려운 경우 기록지로 대체한다. ② 경기 종료 후 기록지에 인솔자의 서명을 받아 운영 본부(심판장)에 제출한다. 제10조(징계) 선수 및 인솔자가 아래에 해당하는 행위를 하는 경우 ‘경고’또는 ‘몰수패’징계를 내릴 수 있다. ① 경기 중 비신사적 행위의 경우 ② 경기 중 인솔자가 선수에게 직간접적으로 지도 및 지시하는 경우 ③ 고의적인 버그 사용의 경우 ④ 경기 설정(전체화면)을 준수하지 않은 경우 ⑤ 기타 공통 규정에 기재된 사항의 경우 ⑥ 종목별 규정에 금지된 사항 적발 경우 제11조(재경기) ① 갑작스러운 정전 및 기기의 문제로 경기가 중단된 경우, 진행 중이던 경기의 스코어는 인정하지 않으며, 재경기를 시행한다. ② 경기 진행 중 기기 문제 등 예측되지 않은 상황으로 경기가 중단된 경우, 경기 중인 선수나 심판이 일시 정지를 요청할 수 있으며 상황 파악 후 심판의 판단에 따라 경기 진행 또는 재경기 여부를 결정한다. 차. FC온라인 (특수학교(급): 통합 초·중·고) FC온라인 규정은 「전국 장애학생 e페스티벌 e스포츠대회」특수학교(급) 초·중·고 과정에 적용하며, 참가 자격 및 기타 규정은 공통 규정을 준용한다. 제1장 선수의 자격 제1조 (자격) ① 장애유형 및 초․중․고등학교 과정 구분 없이 시도별 예선경기를 통해 선발된 특수학교(급)의 특수교육대상학생만 본선에 참가할 수 있다. ② 특수학교 출전 선수의 경우 특수학교 1교에서 다른 종목 출전과 별도로 FC온라인 종목 선수를 출전시킬 수 있다. 제2조 (팀 구성) 선수의 자격에 적합한 동일교 소속 특수교육대상학생 2인으로 구성한다. 제2장 경기 준비 및 시작 제3조 (대진표 및 경기 시간) ① 대진표는 주최기관 및 기획·운영위원 등의 사전 추첨을 통하여 결정하며, 본·결선대회 안내 시 공개한다. ② 경기 시작 시각은 경기 진행에 따라 조정될 수 있으며 심판이 인솔자에게 사전에 안내한다. 제4조 (입장 및 점검) ① 경기장 입장 후 선수는 경기 시작 전까지 장비 및 내부적 환경 점검 시간을 가진다. 수정이 필요할 경우 경기 시작 전에 요청하여야만 한다. ② 경기를 위해 추가된 규정의 경우 심판은 선수에게 사전 공지하고 참가 선수가 동일한 규정하에 경기를 진행할 수 있도록 한다. 제5조 (대전 방식 및 경기 세트) ① 팀전(2 vs 2)으로 진행하며 모든 경기는 3세트 2선승제이다. ② 심판은 동전 던지기를 통하여 홈/어웨이를 정하며, 다음 세트부터는 패배 팀에서 진영을 선택한다. 제6조 (경기 설정) ① 경기 설정: 대회용 기기: cpu i5급 이상, 그래픽카드 Geforce GTX 460급 이상의 PC, 키보드 사용(패드 사용금지) ② 계정: 대회용 계정 사용(단, 지역 예선전은 개인 계정 사용) ③ 실행: [게임 실행] - [대표팀] - [스페셜매치] - [클래식] ④ 게임방 설정 - 경기장: 상관없음 - 날씨: 임의 - 경기 진행 시간대: 임의 - 경기 시간: 8분 - 연장전 및 승부차기: 진행 - 부상: 적용 - 비매너 판정 시스템: 적용 ⑤ 스쿼드: 각 개인 계정의 대표팀 (급여 255, 24 라이브, 1 강화, 능력치 90 이하의 카드, 임대 선수 금지) ⑥ 포메이션 및 전술 수치: 제한 없음 ⑦ 라이브 퍼포먼스: 라이브 서버에서 진행됨에 따라 인-게임 선수에 대한 라이브 퍼포먼스 적용 ⑧ 팀 컬러: 라이브 서버에서 진행됨에 따라, 선수의 스쿼드에 대한 팀 컬러가 적용되며 유니폼의 색상은 서로 구분되는 색상으로 선택 ⑨ 감독: 라이브 서버에서 진행됨에 따라, 감독 효과가 적용되며 감독 사용에 제한 없음 ⑩ 컨디션 : ‘스페셜 매치’로 진행됨에 따라, 선수 컨디션 미적용 ⑪ 훈련 코치: 사용 금지 ⑫ 서포터: 기본 사항만 허용 ⑬ 집중훈련/전술훈련: 사용 금지 ⑭ 기타 아이템 관련: 사용 금지 제3장 경기 운영 제7조 (경기 진행) ① 각 세트는 8분으로 진행한다. ② 선수 교체 및 전술 변경을 위한 경기 중단은 인 게임에서 허용되는 3회까지 가능하다. ③ 선수의 이의 제기 신청으로 인한 경기 중단 시점 이후 다시 경기를 재개한 시점 사이에 득점은 인정하지 않는다. ④ 경기 중 채팅은 금지한다. 경기 도중 문제가 발생할 경우 손을 들어 심판에게 상황을 알린다. ⑤ 의도적으로 인 게임 버그를 이용하는 경우 해당 행위로 인해 득점 또는 추가 공격 기회가 주어지는 상황에 대해서는 무효로 처리하며 동일 선상의 라인 아웃으로 공격권을 넘겨야 한다. 만약 득점이 될 경우 득점은 무효로 하며 중앙선에서 킥 오프로 시작한다. 만약 코너킥이 되면 코너킥은 무효로 하며, 상대편 골킥으로 넘겨야 한다. 제8조 (경기 종료 조건) ① 경기 종료 후 득점에 따라 승패를 결정한다. ② 동점일 경우 연장전을 진행한다. ③ 연장전에서 승패가 결정되지 않으면 승부차기를 진행한다. 제9조 (순위) ① 4강전 운영이 가능한 경우 4강전에 진출한 팀 중 승리 팀은 결승전에 올라가고 패한 팀은 순위 결정전 없이 공동 3위로 한다. ② 4강전 운영이 불가한 경우 리그전을 운영하여 승점이 높은 순서로 순위를 결정한다. ③ 승점이 동일한 경우 다음과 같은 순서로 순위를 정한다. 가. 득실 차가 높은 팀 나. 다득점인 팀 다. 승자 승(순위를 정하지 못한 해당 팀 간의 상대 전적이 우수한 팀) 라. 생년월일이 가장 늦은 선수가 포함된 팀 제4장 심판 판정 제10조(판정) ① 심판은 정확한 결과 확보를 위해 경기 종료 후, 결과 화면을 캡처하여 저장한다. 대회 진행상 캡처가 어려운 경우 기록지로 대체한다. ② 기록지에 인솔자의 서명을 받아 운영 본부(심판장)에 제출한다. 제11조(징계) 선수 및 인솔자가 아래에 해당하는 행위를 하는 경우 ‘경고’또는 ‘몰수패’징계를 내릴 수 있다. ① 경기 중 비신사적 행위의 경우 ② 고의로 경기장 밖으로 공을 계속 차면서 경기를 지연시키는 경우 ③ 경기의 진행 상태와 상관없이 상대방의 선수에게 슬라이딩 태클을 계속 거는 경우 ④ 부적절한 팀 전술 명을 사용하는 경우 ⑤ 경기 중 인솔자가 선수에게 직간접적으로 지도 및 지시하는 경우 ⑥ 고의적인 버그 사용의 경우 ⑦ 기타 공통 규정에 기재된 사항의 경우 ⑧ 종목별 규정에 금지된 사항 적발 경우 ⑨ 게임 내의 ‘비매너 시스템’점수 누적으로 인하여 경기가 종료되는 경우(몰수패) 제12조(재경기) ① 갑작스러운 서버 다운의 경우 해당 세트는‘무효’로 판정하며 재경기를 진행한다. ② 게임렉이나 튕김 현상이 있는 경우, 심판의 재량에 따라 경기를 진행하며 게임이 불가할 정도로 심할 경우, 양 선수는 합의한 다음 재경기를 진행한다. 단, 재경기의 경우, 전반 30분 이전에 결정해야 하며 이후 이의 제기 신청은 접수되지 않는다. ③ 서버다운 및 비정상종료 현상이 발생하여 재경기를 진행하게 될 경우 취소된 경기와 같은 스쿼드로 진행한다. ④ 경기 진행 중 알려지지 않은 버그가 발생한 경우, 경기 중인 선수나 심판이 일시 정지를 요청할 수 있으며, 상황 파악 후 심판의 판단에 따라 진행 또는 재경기 여부를 결정한다.

정보경진대회 운영규정

본 규정은 「전국 장애학생 e페스티벌」 정보경진대회의 공정한 운영과 채점에 기여함을 목적으로 하는 공통 운영 규정이며, 종목별 운영 규정은 <붙임>과 같다. 제1장 참가자격 이 대회에 참가하는 학생 및 인솔자 등은 참가자격 및 종목별 선수의 자격을 시도별 지역예선에서 확인받아야 하며 해당 자격에 맞지 않는 대상자가 본선대회에 출전한 경우 정보경진대회 위원회에서 실격 처리를 할 수 있다. 제1조 (특수학교) 이 대회에 참가하는 특수학교 학생은 다음의 조건을 충족하여야 한다. ① 특수학교에서 발달장애란 ‘지적장애, 정서·행동장애, 자폐성장애, 학습장애, 의사소통장애’를 포괄하는 용어로 사용하며, 장애 등록 유·무와 관계없이 특수교육대상자로 선정 받고 특수학교에 배치된 학생을 말한다. ② 특수학교는 설립인가와 무관하게 두 가지 장애영역까지 출전할 수 있다. ③ 특수학교 학생은 정보경진대회의 한 종목에만 출전할 수 있으며, 정보경진대회 출전 학생은 동시에 e스포츠대회에 출전할 수 없다. ④ 전국 장애학생 e페스티벌 정보경진대회는 대회 시작부터 전년도까지의 동일 종목 최우수상 수상자는 해당 종목에 재출전을 할 수 없다. 제2조 (특수학급) ① 특수학급에서 발달장애란 ‘지적장애, 정서·행동장애, 자폐성장애, 학습장애, 의사소통장애’를 포괄하는 용어로 사용하며, 장애 등록 유·무와 관계없이 특수교육대상자로 선정 받고 특수학급에 배치된 학생을 말한다. ② 특수학급 학생은 정보경진대회의 한 종목만 출전할 수 있으며, 정보경진대회 출전 학생은 동시에 e스포츠대회에 참가할 수 없다. ④ 전국 장애학생 e페스티벌 정보경진대회는 대회 시작부터 전년도까지의 동일 종목 최우수상 수상자는 해당 종목에 재출전을 할 수 없다. 제3조 (지체장애-보조공학기기) ① 지체장애-보조공학기기 종목은 특수학교(급)의 초·중·고등학교에 재학 중인 지체장애 학생으로서 장애정도가 심한 장애인이며, 상하지의 장애로 인해 보조공학기기를 1가지 이상 사용하는 학생만 출전할 수 있다. ② 지체장애-보조공학기기에 출전하는 학생은 지역 예선대회 시 관련 서류(장애인 복지카드 등)를 통해 자격을 확인받아야 한다. 제2장 출제 및 채점 정보경진대회는 ITQ에 기반한 종목과 그 외 종목 등으로 이루어진다. 제4조 (출제) ① 대회의 문제는 장애학생의 정보화 역량 강화 교육을 목적으로 출제한다. ② ITQ 종목(한글, 엑셀, 파워포인트 등)과 SW코딩 종목은 한국생산성본부의 기출문제를 기반으로 하여 장애학생의 특성에 맞게 난이도를 조정한다. ③ 출제 문제는 비공개를 원칙으로 하며 직전년도의 문제를 기반으로 난이도를 조정하여 예시문제를 출제한다. ④ 당해 대회문제의 유형 및 난이도는 학년도 초에 예시문제를 통해 안내한다. 제5조 (채점) ① 채점은 기획위원의 감독하에 출제위원(기관)이 실시한다. ② 채점 결과는 기획위원이 교차 검토하여 경기 운영위원회에 최종 제출한다. 제3장 경기 운영 대회의 준비 및 운영은 정보경진대회 운영위원의 주관하에 진행한다. 제6조 (경기장 입장 및 환경 점검) ① 참가자는 인솔자와 같이 입장할 수 있다. ② 인솔자는 운영위원의 지시에 따라 경기 시작 10분 전까지 경기장에서 퇴장하여야 한다. ③ 인솔자는 경기 준비를 위해 다음 사항을 점검할 수 있다. 가. PC(태블릿PC 포함)의 운영체제(OS) 및 프로그램의 이상 유무 나. 입력장치(마우스, 키보드 등)와 출력장치의 이상 유무 다. 참가신청서에 따라 사전 승인된 개별 지참 보조공학기기의 설치 및 점검 ※ 참가자는 사전 승인된 개인 키보드 등을 가져올 수 있으나 이로 인한 시간 지연 등 발생 문제는 대회 운영진이 책임지지 않음 라. 참가신청서에 따라 사전 허가된 소프트웨어의 설치 및 점검 마. 테이블 및 의자 상태 제7조 (개인 장비) ① 출전 선수는 경기장 입장 시 불필요한 휴대전화, 스마트워치 등 전자기기를 소지하여서는 아니 된다. ② 경기에 출전하는 선수는 대회의 주최 측에서 제공하는 장비를 사용하는 것을 원칙으로 한다. 단, 장애로 인하여 불가피한 경우에는 개별 장비 또는 장치를 사용할 수 있으며, 이는 참가신청서에 따라 사전 승인된 것으로 제한한다. 제8조 (불가피한 일시 중단 상황) 아래와 같은 이유로 경기가 일시 중단될 경우 해당 경기는 정보경진대회 운영위원이 조치하고 속개하며, 문제가 즉시 해결하기 어려운 경우 기획위원을 통해 주최기관에 통보하여 위원회를 개최한다. ① 경기 진행용 기자재 이상이나 정전, 네트워크 장애 등으로 경기가 중단된 경우 ② 참가학생이 사용하는 PC(태블릿PC 포함)에 오류가 발생한 경우 ③ 경기에 영향을 미칠만한 상황이 발생했을 경우 ④ 관중의 경기장 난입, 이물질 투척을 비롯해 과격한 언사나 행동 등의 소동 또는 소음으로 인해서 더 이상의 경기 진행이 어려운 경우 ⑤ 기타 천재지변을 비롯한 부득이한 상황으로 더 이상의 경기 진행이 어려운 경우 ⑥ 참가학생 건강상의 문제가 발생했을 경우 제3장 시상 제9조 (시상 인원) ① 시상 인원은 2025 전국 장애학생 e페스티벌 세부계획에 따른다. ② 단, 참여 선수가 5명 미만으로 최소 시상 인원을 충족하지 못할 경우 최고 득점 학생의 점수를 기준으로 다음과 같이 시상 등급을 결정한다. 가. 최우수상: 해당 종목 만점의 80% 이상 득점 나. 우수상: 해당 종목 만점의 60% 이상 득점 다. 장려상: 해당 종목 만점의 60% 미만 득점 제4장 경기 운영위원회 제10조 (위원회 구성) ① 대회의 원활한 진행을 위하여 위원회를 구성하여 운영한다. ② 경기 운영위원회는 대회 주최기관인 국립특수교육원 1인, 한국콘텐츠진흥원 1인, 넷마블문화재단 1인으로 구성한다. 제11조 (위원회 역할) 경기 운영위원회는 대회 운영에 관한 전반적인 사항을 결정한다. ① 경기 운영 중 발생하는 문제 ② 기타 대회 및 경기 운영 결과에 대해 이의신청이 제기된 문제 ③ 정보경진대회 기획·운영위원 등이 위원회 개최를 요청한 문제 부칙 1. 본 규정은 2025 전국 장애학생 e페스티벌 정보경진대회(예선전 포함)부터 적용한다. 2. 본 대회의 종목별 선수의 자격, 경기 준비 및 시작, 경기 운영, 채점기준 등의 운영규정은 <붙임>과 같다. <붙임> [종목별 세부 운영 규정] 아래한글(ITQ) ◦ 참가 대상: 특수학급 발달장애 초등, 특수학교 발달장애/청각장애 초등 ◦ 문제 유형: 아래한글 문항 중 기능평가와 문서작성능력 문제 출제 ※ 정보기술자격(ITQ) 시험 아래한글 출제 기준 참조 ◦ 대회용 소프트웨어: 한컴오피스 2020 ◦ 대회 진행 방법 - <유의사항 및 작성요령>과 문제지를 함께 배부한 후 대회 시작과 함께 40분 후에 종료 - 참가학생은 대회용 기기 외 휴대전화 등의 기타 전자기기 소지 금지 - 인솔자는 대회 시작 10분 전 퇴장 ◦ 답안 작성 방법: 작성된 답안 파일명은 ‘학교명 참가학생이름’(예: 길동학교 이순신.hwp)으로 바탕화면에 저장(학교명과 참가학생이름 사이에 한 칸 띄움) ※ 답안 파일 작성 방법 미준수 시 ‘파일명 오류 -5점, 저장 위치 오류 –5점’으로 감점 처리 ◦ 참가대상별 출제 기준 【참가대상 A】 특수학급 발달장애 초등
구분 / 영역 배점 (점) 출제기준
스타일 35 ▸한글/영문 텍스트 작성과 스타일 기능 사용 능력 평가 - 한글/영문 텍스트 작성 - 스타일 이름/문단모양/글자모양
표와 차트 120 ▸표를 작성하고 이를 이용하여 간단한 차트 작성 능력 평가 - 표 작성: 내용/정렬/셀 배경색/선모양/표 계산 기능/캡션 기능 - 차트 작성: 조건에 맞는 자료 사용/차트 종류/글꼴/배경/축제목/범례
수식편집기 40 ▸수식편집기를 이용한 수식작성
그림 / 그리기 105 ▸다양한 기능을 통합한 문제로 도형, 그림, 글맵시, 하이퍼링크 등 문서작성 시 응용능력 평가 - 글상자, 도형 삽입 및 하이퍼링크 - 그림/글맵시(워드아트) 삽입 및 편집, 개체배치 - 도형에 문자열 입력하기
문서작성
능력
200 ▸문서 작성을 위한 다양한 능력 평가 - 문서작성 입력 및 편집(글자모양/문단모양), 한자변환, 들여쓰기 - 책갈피, 덧말, 문단첫글자장식, 문자표, 머리말, 쪽번호, 각주 - 표 작성 및 편집, 그림 삽입 및 편집(자르기 등), 문단번호기능
총점 500
【참가대상 B】 특수학교 청각장애/발달장애 초등
구분 / 영역 배점 (점) 출제기준
기능평가 150 ▸스타일 기능(30점): 스타일 이름, 문단 모양 및 글자 모양 설정 ▸표 작성(80점): 표 삽입 및 편집 기능 ▸수식 편집기 활용(40점): 수식 편집기를 활용한 입력
문서작성
능력
200 ▸문서 타이핑 능력 ▸문서작성 입력 및 편집(글자모양/문단모양) ▸한자변환 및 문자표 기능을 활용한 특수문자 삽입 ▸그림 삽입 및 개체 속성 변경 기능 ▸표 복사 및 붙여넣기
총점 350
◦ 참가대상별 채점 기준 【참가대상 A】 특수학급 발달장애 초등
구 분 평가항목 세부 평가항목 채점기준
감점항목 저장위치 및 저장파일명 오류 저장위치 및 파일명오류 각 -5점
오타, 띄어쓰기 오타, 띄어쓰기 각 -1점
1,2페이지에 쪽번호가 표기된 경우 페이지당 각 -5점
기능평가Ⅰ
(160점)
표 작성(50점) 표 내용 작성
※ 줄, 칸 수가 맞는지 확인
10점
문자 정렬, 숫자 정렬, 배경색, 모양 요소별5점
표 계산 기능, 캡션 기능 요소별10점
차트 작성(70점) 조건에 맞는 차트 데이터 자료 사용 15점
차트 종류 15점
제목 글꼴, 속성 요소별5점
제목 이외의 전체 글꼴 10점
축제목, 범례 요소별10점
수식 편집기(40점) 문제 (1) 20점
문제 (2) 20점
기능평가 Ⅱ
(140점)
그림 /
그리기
(105)
①번 (글맵시)(20점) 크기, 글꼴, 글꼴 색상, 글맵시 모양 요소별5점
②번 그림배치(25점) 그림, 글맵시, 글상자 1,2,3 요소별5점
③번 도형(15점) 크기, 면색, 윤곽선 요소별5점
④번 글상자(45점) 크기, 면색, 글꼴, 글꼴크기, 정렬, 선종류 요소별5점
글상자 1,2,3 속 내용 입력 요소별 5점
스타일 기능(35점) 스타일 내용 입력 5점
스타일 이름 5점
문단 모양 10점
글자 모양 10점
문서작성
능력평가
(200점)
①번 과제 (머리말 기능)(6점) 글꼴, 글자크기, 정렬 요소별2점
②번 과제 (제목)(20점) 글꼴, 글자크기, 진하기, 정렬, 덧말 요소별4점
③번 과제 (문단 첫 글자 장식)(12점) 모양, 글꼴, 면색 요소별4점
④번 과제 (그림 삽입)(15점) 위치, 크기, 여백 요소별5점
⑤번 과제 (각주)(16점) 글꼴, 글자크기, 정렬, 각주모양 요소별4점
⑥번 과제 (음영 넣기)(20점) 글꼴, 글자크기, 글자색, 음영색 요소별5점
⑦번 과제 (문단 번호 기능)(14점) 1수준(문단번호모양, 여백, 정렬) 요소별2점
2수준(문단번호모양, 여백, 정렬) 요소별2점
줄간격 2점
⑧번 과제 (글자 모양 꾸미기)(20점) 글꼴, 글자크기, 진하게, 강조점 요소별5점
⑨번 과제 (표 삽입)(30점) 글꼴, 글자크기, 정렬, 그러데이션, 셀 합치기 및 나누기, 표 테두리 요소별5점
⑩번 과제 (글자 및 문단 모양)(20점) 글꼴, 글자크기, 진하기, 정렬 요소별5점
⑪번 과제 (쪽번호)(15점) 쪽번호 삽입, 새번호로 시작, 줄표 요소별5점
⑫번 과제 (한자 변환 등)(12점) 한자 변환 2개, 특수문자 삽입 2개 요소별3점
총점 500점
【참가대상 B】 특수학교 청각장애/발달장애 초등
구 분 평가항목 세부 평가항목 채점기준
감점항목 저장위치 및 저장파일명 오류 저장위치 및 파일명 오류 각 -5점
오타, 띄어쓰기 오타, 띄어쓰기 각 -1점
기능평가
(150점)
스타일 기능 (30점) 스타일 이름 10점
문단 모양 10점
글자 모양 10점
표 작성 (80점) 줄과 칸의 수 18점
문자 정렬, 숫자 정렬, 배경색, 선모양, 글꼴, 글자크기 요소별7점
표 계산 기능, 캡션 기능 요소별10점
수식 편집기 (40점) 문제 (1) 20점
문제 (2) 20점
문서작성
능력평가
(200점)
본문 내용 입력(70점) 본문의 내용을 입력한 경우 70점
①번 과제 (제목) (25점) 내용입력, 글꼴, 글자크기, 진하기, 정렬 요소별5점
②번 과제 (그림 삽입) (30점) 위치, 그림 크기, 여백 요소별10점
③번 과제 (글자모양) (20점) 내용입력, 글꼴, 글자크기, 진하게 요소별5점
④번 과제 (표 삽입) (10점) 표 복사 및 붙여넣기 10점
한자 변환 등 (45점) 한자 변환2개, 특수문자3개, 숫자 4개 요소별5점
총점 350점
※ 위 채점기준은 예시이며 출제되는 문제에 따라 채점기준은 변경될 수 있음 ◦ 답안 미제출 시 - (참가대상 A) 답안을 저장하지 않은 경우 미제출로 간주하여 미제출 감점(-100점) 후 작성 중인 파일을 저장하여 채점함 - (참가대상 B) 답안을 저장하지 않은 경우 미제출로 간주하여 미제출 감점(-70점) 후 작성 중인 파일을 저장하여 채점함 ◦ 동점자 처리기준: 아래 순서로 처리 - 문서작성 능력, 기능평가Ⅰ, 기능평가Ⅱ 순으로 높은 점수를 받은 자 - 생년월일이 늦은 자 점자정보단말기 타자검정 ◦ 참가 대상: 특수학교 시각장애 초등 ◦ 점자정보단말기: 한소네 시리즈 중 본인이 선택하여 준비(쿼티 제외) ◦ 출제기준 - 시험 문제는 시각장애 초등학교 학생의 수준을 고려하여 초등학교 교과서 또는 동화책 수준으로 출제하되 점자 단면 2장 정도의 분량 - 문제의 입력과 편집에는 한글 점자, 숫자, 점자 영어(약자가 포함되지 않은 영어) 알파벳, 기타 일반적인 문장부호(마침표, 쉼표, 작은따옴표, 큰따옴표, 느낌표, 물음표, 슬래시, 괄호 열기, 괄호 닫기)가 제시됨 - 문단을 잘라내서 재배열하기, 특별한 몇몇 단어들을 치환하기, 글자 추가하기, 글자 삭제하기 등의 편집 기능 ◦ 대회 진행 방법 - 참가학생은 대회용 기기 외 휴대전화 등의 기타 전자기기 소지 금지 - 인솔자는 대회 시작 10분 전 퇴장 - 운영위원이 각 참가 학생에게 점자 문제지를 배부한 후라도 대회 시작을 알리는 별도의 안내가 있기 전까지 참가 학생은 문제지를 읽을 수 없음 - 운영위원이 대회 시작을 알리면 참가 학생은 점자 문제지를 읽으며, 단말기에 입력 시작 - 참가학생은 대회 기간 중 문제 내용을 소리 내어 말할 수 없음 - 운영위원은 대회 시간 20분이 지나면 참가 학생에게 ‘편집’ 관련 점자 문제지를 배부. 이때 입력 관련 시험문제지는 수거하지 않으며 참가 학생의 개인차에 따라 입력을 좀 더 한 후에 편집하거나 ‘편집’ 문제지를 받은 후 곧바로 편집할 수 있음 - 운영위원은 참가학생들이 작성한 문서 파일의 저장을 위해 시험 종료 5분, 종료 1분 전에 남은 시간을 참가학생들에게 시간 통보함 - 참가학생은 시험 종료를 알리는 통보와 함께 자신의 단말기를 제자리에 놓고, 운영위원의 안내에 따라 손을 책상 아래로 내린 채 대기함(시험 종료 통보 후 단말기에 손을 대는 순간 부정행위로 간주할 수 있음) ◦ 유의 사항 - 참가학생은 대회 당일 점자정보단말기의 충전을 완료하여 준비 ․ 점자정보단말기의 종류 중 본인이 선호하는 단말기로 선택 사용 ․ 기기의 버전은 당해 3월 이후 가장 최신 버전으로 함 ․ 방전으로 인해 발생하는 문제 및 단말기에서 발생한 고장이나 오작동으로 발생한 문제는 참가학생의 책임으로 간주함 ․ 단말기 어댑터는 별도 지참 ․ 개인이 소지한 이어폰이나 헤드셋 사용 가능 - 문제지는 인쇄된 점자 단면용지로 배부 - 점자 문제지는 출력 시 워드랩(단어) 단위로 출력되므로 이를 기준으로 띄어쓰기함 - 워드랩으로 줄이 바뀌거나 ‘마침표’가 나와 있더라도 실제 점자 문제지에서 줄이 바뀌어 있지 않으면 ‘엔터’를 입력하여 줄 바꿈을 하지 않음 - ‘마침표’로 해당 줄이 끝나고 다음 줄로 넘어가 있더라도 다음 줄이 시작될 때 2칸이 띄어져 있지 않으면 그것은 새로운 문단의 시작이 아니므로 이것 또한 ‘엔터’를 입력하여 줄 바꿈을 하지 않음 - 문제지에서 빈 줄이 있는 경우, 워드 입력 시에도 빈 줄로 입력 - 문제지에서 수표와 한글의 구분을 위한 빈칸이 있는 경우, 숫자 다음에 반드시 빈칸을 넣어야 맞는 것으로 처리 - 한소네 옵션에서 'grade1'으로 설정 ※ 'grade2'로 설정하고 'f'라고 입력하면 'from'으로 인식 - 한글 문장부호로 제시되어 있으면 한글 문장부호로, 영어 문장부호로 제시되어 있으면 영어 문장부호로 입력 - 입력 파일은 자신의 단말기 내 flashdisk ‘work’ 또는 ‘Documents’ 폴더 내에 저장 ※한소네 5, 6의 경우 ‘Documents’폴더에 저장 ◦ 답안 작성 방법: 입력을 마친 문서의 파일명은 ‘학교명 참가학생이름’(예: 길동학교 이순신.txt)으로 저장 (학교명과 참가학생이름 사이에 한 칸 띄움) ◦ 채점 기준
구분 배점 평가항목 채점기준
파일명 입력 5점 학교명 참가학생이름.txt 파일명 오류 –5점
저장 위치 5점 flashdisk ‘work’ 또는 ‘Documents’ 폴더 내에 저장 저장 위치 오류 –5점
단어 입력 60점 단어 입력 한 글자(띄어쓰기 포함)당 2점씩 부여.
오자, 탈자, 띄어쓰기 미입력 및 오류 시 한 글자당 –2점.
문장 입력 1 80점 한글/숫자/문장 기호 입력
문장 입력 2 70점 한글 입력 오자, 탈자, 띄어쓰기 미입력 및 오류 시 한 글자당 –0.5점
숫자 입력 오자, 탈자, 띄어쓰기 미입력 및 오류 시 한 숫자당 –0.5점
문장 기호 입력 구두점 미입력 및 오류 시 한 개당 –0.5점
편집 기능 40점 단어 순서 바꾸기 10점 단어 순서 바꾸기 오류 시 –10점
영어 입력하기 10점 영어로 입력하기 오류 시 한 글자당 –5점
삽입 및 삭제 20점 단어 삽입 및 삭제 오류 시 한 단어당 -1점
(단어 중 한 글자가 틀린 경우에도 감점 처리)
특수 기능 40점 한자 입력 15점 한자 변환 오류 시 한 글자당 –2.5점
(미입력 시 0점)
전각기호 입력 25점 전각기호 입력 오류 시 한 기호당 –5점
(미입력 시 0점)
총점 300점
◦ 점자정보단말기 입력 기능은 단어 입력, 문장 입력 1, 2로 나누어 채점한다. - 단어 입력: 총 10개 단어, 30자로 60점 만점 - 문장 입력 1: 총 40자, 80점 만점 - 문장 입력 2: 70점 만점, 채점 시 문장 입력 2의 감점이 70점 이상이면 0점으로 처리 ◦ 답안 미제출 시 - 저장된 답안 파일이 없으나 점자정보단말기에 작성 중인 파일이 남아 있는 경우 미제출로 간주하여 미제출 감점(-60점) 후 작성 중인 파일을 저장하여 채점함 - 중간에 답안을 저장하였으나 최종 파일을 저장하지 못하여 점자정보단말기에 작성 중인 최종 파일이 남아 있는 경우 미제출 감점(-30점) 후 작성 중인 파일을 최종 파일로 저장하여 채점함 ◦ 동점자 처리기준: 아래 순서로 처리 - 문장 입력 2, 편집 기능, 특수 기능 영역 순으로 높은 점수를 받은 자 - 생년월일이 늦은 자 파워포인트(ITQ) ◦ 참가대상: 특수학교 발달장애 중학, 특수학교 지체장애 중·고 ◦ 문제유형: 정보기술자격(ITQ) 시험 파워포인트 출제 기준 참조 ◦ 대회용 소프트웨어: MS오피스 2016(파워포인트) ◦ 대회 진행 방법 - 참가학생은 대회용 기기 외 휴대전화 등의 기타 전자기기 소지 금지 - 인솔자는 대회 시작 10분 전 퇴장 ◦ 답안 작성 방법: 작성된 답안 파일명은 ‘학교명 참가학생이름’(예: 길동학교 이순신.pptx)으로 바탕화면에 저장(학교명과 참가학생이름 사이에 한 칸 띄움) ※ 답안 파일 작성 방법 미준수 시 ‘파일명 오류 -5점, 저장 위치 오류 –5점’으로 감점 처리 ◦ 참가대상별 출제 기준 【참가대상 A】 특수학교 발달장애 중학
구분 / 영역 배점 출제기준
전체구성 60점 ▸ 전체 슬라이드 구성 내용을 평가
- 슬라이드 크기, 슬라이드 개수 및 순서, 슬라이드 번호, 도형/그림 삽입 및 편집, 슬라이드 마스터 등 전체적인 구성 내용 평가
표지 디자인 40점 ▸ 도형과 그림을 이용한 제목 슬라이드 작성 능력 평가
- 도형 점편집/워드아트 삽입 및 편집
- 그림 삽입 및 편집
목차(소개) 슬라이드 60점 ▸목차에 따른 하이퍼링크와 도형, 그림 배치 능력을 평가
- 도형 편집 및 효과
- 하이퍼링크 적용
- 그림 삽입 및 편집
텍스트 슬라이드 60점 ▸텍스트 간의 조화로운 배치 능력을 평가
- 텍스트 편집/목록수준 조절/글머리기호/내어쓰기/줄간격
표 슬라이드 80점 ▸파워포인트 내에서의 표 작성능력 평가
- 표 삽입 및 편집/2개 도형 조합
- 도형 편집 및 효과
차트 슬라이드 100점 ▸차트 기능을 이용한 슬라이드 작성능력 평가
- 차트 삽입 및 편집
- 도형 편집 및 효과
도형 슬라이드 100점 ▸도형을 이용한 슬라이드 작성능력 평가
- 도형: 실무에 활용되는 다양한 도형 작성
- 그룹화/애니메이션 효과
총점 500점
【참가대상 B】 특수학교 지체장애 중·고
구분 / 영역 배점 출제기준
전체구성 60점 ▸ 전체 슬라이드 구성 내용을 평가
- 슬라이드 크기, 슬라이드 개수 및 순서, 슬라이드 번호, 도형/그림 삽입 및 편집, 슬라이드 마스터 등 전체적인 구성 내용 평가
표지 디자인 40점 ▸ 도형과 그림을 이용한 제목 슬라이드 작성 능력 평가
- 도형 점편집/워드아트 삽입 및 편집
- 그림 삽입 및 편집
목차(소개) 슬라이드 60점 ▸목차에 따른 하이퍼링크와 도형, 그림 배치 능력을 평가
- 도형 편집 및 효과
- 그림 삽입 및 편집
텍스트 슬라이드 60점 ▸텍스트 간의 조화로운 배치 능력을 평가
- 텍스트 편집/목록수준 조절/글머리기호/내어쓰기/줄간격
표 슬라이드 80점 ▸파워포인트 내에서의 표 작성능력 평가
- 표 삽입 및 편집/2개 도형 조합
- 도형 편집 및 효과
차트 슬라이드 100점 ▸차트 기능을 이용한 슬라이드 작성능력 평가
- 차트 삽입 및 편집
- 도형 편집 및 효과
총점 400점
◦ 참가대상별 채점 기준 【참가대상 A】특수학교 발달장애 중학
문 항 배점 평가항목 세부평가항목 및 채점기준
전체구성 60점 파일명 및 저장 경로 10점 각 -5점
슬라이드 크기 5점 제시된 슬라이드 크기 설정 오류 -5점
슬라이드 순서 4점 슬라이드 순서 오류 -4점
슬라이드 개수 24점 누락된 슬라이드당 각 -4점
슬라이드 마스터 5점 제목 슬라이드 모두 설정 시(각 슬라이드당 –1점)
6점 슬라이드 번호, 그림 삽입 로고 모두 설정 시(조건별 –3점)
2점 삽입된 그림 크기 오류 -2점
4점 글꼴, 도형 모양 (조건별 -2점)
표지 디자인 40점 표지 디자인 12점 제목 및 그림 위치(조건별 -6점)
제목 워드아트 10점 글꼴, 변환 등 효과 만족(조건별 –5점)
그림 삽입 10점 제시된 그림 미삽입 시 각 -5점(삽입된 그림 크기 오류 시 각 -2점)
오타, 띄어쓰기 8점 한 개당 –2점(최대 -8점)
목차 슬라이드
60점 1번, 2번, 3번, 4번 목차 완성 32점 누락된 목차당 -8점
제시한 도형, 채우기, 선색(조건별 –2점)  
하이퍼링크 적용 및 위치 설정 10점 제시된 목차에 하이퍼링크 적용 유무 및 올바른 위치 설정(조건별 –5점)
목차, 도형 배치 6점 도형배치가 문제와 비슷하게(오류 시 -6점)
그림 삽입 4점 그림 크기 및 위치(조건별 -2점)
오타, 띄어쓰기, 글꼴, 그림자 8점 한 개당 –2점(최대 -8점)
차트 슬라이드
100점 차트 구성 30점 차트 종류, 채우기 및 테두리, 차트 스타일, 데이터 레이블 글꼴, 데이터 레이블 위치(조건별 –6점)
차트 데이터 값 입력 20점 차트 데이터 값 입력 오류 및 미입력 한 개당 –2점(최대 –20점)
차트 제목 20점 차트 위 표시, 제목 글꼴, 테두리, 채우기 조건 만족(조건별 -5점)
데이터 레이블 8점 항목 이름, 값, 지시선 표시, 출력 형태(조건별 -2점)
그림 삽입 10점 올바른 그림 삽입, 그림 크기(조건별 –5점)
오타, 띄어쓰기 12점 한 개당 –2점(최대 -12점)
텍스트 슬라이드 60점 글머리 기호 12점 한 개당 –2점(최대 –12점)
줄 간격 및 문단 완성 10점 줄 간격 및 문단 완성(조건별 –5점)
도형 삽입 12점 도형 모양, 채우기, 선색, 크기(조건별 –3점)
그림 삽입 12점 제시된 그림파일 사용, 그림 스타일, 크기(조건별 –4점)
오타, 띄어쓰기, 글꼴 14점 한 개당 –2점(최대 -14점)
표 슬라이드 80점 표 작성 30점 제시된 행, 열, 표 스타일(조건별 -10점)
표 내용 20점 텍스트 미입력시 한 글자당 –1점(최대 –20점)
표 구분 영역 10점 표 구분 영역 채우기 오류 -10점
오타, 띄어쓰기, 글꼴 20점 한 개당 –2점(최대 –20점)
도형 슬라이드 100점 도형 구성 30점 도형 모양, 색 채우기, 실선, 텍스트 가운데 맞춤 한 개당 –3점(최대 -30점)
도형 배치 18점 한 개당 –3점(최대 -18점)
그림 삽입 20점 그림 삽입, 크기(조건별 -5점)
애니메이션 10점 애니메이션 효과 오류 -10점
오타, 띄어쓰기, 글꼴 22점 한 개당 –2점(최대 -22점)
총점 500점
※ 위 채점 기준은 예시이며 출제되는 문제에 따라 채점 기준은 변경될 수 있음 【참가대상 B】 특수학교 지체장애 중·고
문 항 배점 평가항목 세부평가항목 및 채점기준
전체구성 60점 파일명 및 저장 경로 10점 각 -5점
슬라이드 크기 5점 제시된 슬라이드 크기 설정 오류 -5점
슬라이드 순서 4점 슬라이드 순서 오류 -4점
슬라이드 개수 25점 누락된 슬라이드당 각 -5점
슬라이드 마스터 4점 제목 슬라이드 모두 설정 시(각 슬라이드당 –1점)
6점 슬라이드 번호, 그림 삽입 로고 모두 설정 시(조건별 –3점)
2점 삽입된 그림 크기 오류 -2점
4점 글꼴, 도형 모양 (조건별 -2점)
표지 디자인 40점 표지 디자인 12점 제목 및 그림 위치(조건별 -6점)
제목 워드아트 10점 글꼴, 변환 등 효과 만족(조건별 –5점)
그림 삽입 10점 제시된 그림 미삽입 시 각 -5점(삽입된 그림 크기 오류 시 각 -2점)
오타, 띄어쓰기 8점 한 개당 –2점(최대 -8점)
목차
슬라이드
60점 1번, 2번, 3번 목차 완성 30점 누락된 목차당 -10점
제시한 도형, 채우기, 선색(조건별 –2점)
목차, 도형 배치 6점 도형배치가 문제와 비슷하게(오류 시 -6점)
그림 삽입 14점 그림 크기 및 위치(조건별 -7점)
오타, 띄어쓰기, 글꼴, 그림자 10점 한 개당 –2점(최대 -10점)
차트
슬라이드
100점 차트 구성 30점 차트 종류, 채우기 및 테두리, 차트 스타일, 데이터 레이블 글꼴, 데이터 레이블 위치(조건별 –6점)
차트 데이터 값 입력 20점 차트 데이터 값 입력 오류 및 미입력 한 개당 –2점(최대 –20점)
차트 제목 20점 차트 위 표시, 제목 글꼴, 테두리, 채우기 조건 만족(조건별 -5점)
데이터 레이블 16점 항목 이름, 값, 지시선 표시, 출력 형태(조건별 -4점)
오타, 띄어쓰기 14점 한 개당 –2점(최대 -14점)
텍스트
슬라이드
60점 글머리 기호 10점 한 개당 –2점(최대 –10점)
줄 간격 및 문단 완성 10점 줄 간격 및 문단 완성(조건별 –5점)
도형 삽입 12점 도형 모양, 채우기, 크기(조건별 –4점)
그림 삽입 12점 제시된 그림파일 사용, 크기(조건별 –6점)
오타, 띄어쓰기, 글꼴 16점 한 개당 –2점(최대 -16점)

슬라이드
80점 표 작성 30점 제시된 행, 열, 표 스타일(조건별 -10점)
표 내용 20점 텍스트 미입력시 한 글자당 –1점(최대 –20점)
표 정렬 10점 행의 텍스트 가운데 맞춤 오류 -10점
오타, 띄어쓰기, 글꼴 20점 한 개당 –2점(최대 –20점)
총점 400점
※ 위 채점 기준은 예시이며 출제되는 문제에 따라 채점 기준은 변경될 수 있음 ◦ 답안 미제출 시 - (참가대상 A) 답안을 저장하지 않은 경우 미제출로 간주하여 미제출 감점(-100점) 후 작성 중인 파일을 저장하여 채점함 - (참가대상 B) 답안을 저장하지 않은 경우 미제출로 간주하여 미제출 감점(-80점) 후 작성 중인 파일을 저장하여 채점함 ◦ 동점자 처리기준: 아래 순서로 처리 - 차트 슬라이드, 도형 슬라이드, 전체구성, 목차 슬라이드, 텍스트 슬라이드, 표지디자인 영역 순으로 높은 점수를 받은 자 - 생년월일이 늦은 자 엑셀 A (ITQ) – 스크린리더 사용자 ◦ 참가 대상: 특수학교 시각장애(맹) 중·고 ◦ 문제 유형: 정보기술자격(ITQ) 엑셀 시험 출제 기준 참조 ◦ 대회용 소프트웨어: MS오피스2016 엑셀 ◦ 대회 방식: 참가학생은 PC 화면을 보지 않고 스크린리더(센스리더)를 활용하여 문제를 해결함 ◦ 문제 배부 방식: 문제는 점자 인쇄물 및 동일 내용의 파일(HWP)로 제공되며, 참가학생은 별도로 제공된 문제 풀이용 엑셀 파일에 답안을 작성하여 제출해야 함 ◦ 대회 진행 방법 - 참가학생과 인솔자는 대회 시작 20분 전까지 대회장으로 입장 - 참가학생과 인솔자는 정해진 자리에 앉은 후 PC의 세팅 상태를 점검하고 이상이 있으면 운영위원에게 알려 조치. 이후 PC 이상으로 인해 발생하는 문제는 본인의 책임 ∙ 인솔자는 참가학생을 정해진 자리에 앉게 하고 PC 상태 점검 후 퇴실 ∙ 참가학생이 준비해 온 키보드나 헤드셋 교체 가능 - 참가학생이 준비해 온 키보드나 헤드셋 사용이 가능하나 이로 인한 문제는 본인의 책임 - 참가학생은 대회 시작 15분 전까지 운영위원의 감독하에 자신의 PC 세팅 상태 확인 후 개인 기기 변경 - 참가학생은 대회용 기기 외 휴대전화 등의 기타 전자기기 소지 금지 - 인솔자는 대회 시작 10분 전 퇴장 - PC의 하드웨어 및 소프트웨어에 문제가 있는 경우 손을 들어 운영위원의 지원 요청 - 운영위원은 시험 시작 5분 전 PC 모니터를 90~180도로 회전시키고, 참가학생에게 ‘유의 사항 및 작성 요령과 문제지’를 배부함. 이때 참가학생은 문제지를 읽을 수 없음 - 문제 풀이용 엑셀 파일과 문제지 파일(HWP)은 바탕화면에 배치되며, 참가학생은 시험 시작 전까지 엑셀 파일을 열 수 없음. HWP 파일은 1쪽에 포함된 유의 사항만 열람할 수 있으며, 이후 문제지가 포함된 부분은 시험 시작 전까지 열람이 제한됨. - 문제는 점자 인쇄물과 파일(HWP)로 제공(2024년도 점자 규정 적용) - 시험 시작을 알리는 운영위원의 알림과 함께 문제 풀이 시작 - 운영위원은 참가학생이 작성한 문서 파일을 저장할 수 있도록 시험 종료 5분 전과 1분 전에 참가학생에게 남은 시간 안내 ◦ 답안 작성 방법 : 작성된 답안 파일명은 ‘학교명 참가학생이름’(예: 길동학교 이순신.xlsx)으로 바탕화면에 저장(학교명과 참가학생이름 사이에 한 칸 띄움) ※ 답안 파일 작성 방법 미준수 시 ‘파일명 오류 -5점, 저장 위치 오류 –5점’으로 감점 처리 ◦ 출제 기준
구분 / 영역 배점 출제 기준
데이터 입력

서식작업
100점 ▸출력 형태의 표를 편집하고 조건에 따른 서식 변환 및 함수 사용 능력 평가
  - 데이터 입력 및 셀 편집
  - 도형을 이용한 제목 작성 및 편집
  - 이름 정의, 유효성검사 등
함수 100점 ▸함수 사용 능력 평가
  - 함수를 이용한 수식 작성(함수 출제 범위 참고)
  - 계산식 활용, 함수의 활용, 상대주소 및 절대주소 활용, “&” 연산자 사용
총점 200점
함수
출제 범위
날짜/시간 함수 -YEAR, MONTH, DAY, HOUR, MINUTE, SECOND, NOW, TIME, DATE
수학/삼각 함수 -SUM, ROUND, ROUNDUP, ROUNDDOWN, SUMIF, SUMIFS, MOD
통계 함수 -AVERAGE, AVERAGEA, COUNT, COUNTA, COUNTIF, RANK, MODE, DAVERAGE, DCOUNT, DCOUNTA, DMAX, DMIN, DSUM
찾기/참조 함수 -CHOOSE, HLOOKUP, VLOOKUP
텍스트 함수 -LEFT, MID, RIGHT, PROPER, UPPER, LOWER, LEN
논리 함수 -AND, IF, OR, TRUE, FALSE
◦ 채점 기준
문항 평가항목 채점 기준
공통사항 오․탈자, 띄어쓰기 셀 당 1점 감점 각 –1점
저장 위치 및 파일명 오류 각- 5점
표 데이터 입력 및 서식 작성
(100점)
문제에서 제시한 대로 표 데이터 입력 및 서식을 작성하였는가? 10점
제목 셀을 정확하게 정렬하였는가? 10점
제목 셀을 주어진 서식에 맞게 적용하였는가? 10점
해당 영역을 ‘가로․세로 가운데 맞춤’으로 정렬하였는가? 10점
해당 영역을 ‘셀 병합 후 가운데 맞춤’ 하였는가 10점
해당 영역에 맞게 셀 서식을 이용하여 ‘천 단위 구분 기호’를 사용하고 오른쪽으로 정렬하였는가? 10점
문제에서 제시한 대로 행 높이를 적용하였는가? 10점
해당 영역의 내용을 정확하게 입력하였는가? 10점
지정된 영역을 모든 테두리()로 설정하였는가? 10점
지정된 셀 영역의 메모를 정확하게 입력하였는가? 10점
함수
(100점)
정답지 확인 후 정답이 맞으면 PC 화면에서 지정셀을 클릭하여 수식입력 줄에 함수가 적용되었는지 확인 25점
정답지 확인 후 정답이 맞으면 PC 화면에서 지정셀을 클릭하여 수식입력 줄에 함수가 적용되었는지 확인 25점
정답지 확인 후 정답이 맞으면 PC 화면에서 지정셀을 클릭하여 수식입력 줄에 함수가 적용되었는지 확인 25점
정답지 확인 후 정답이 맞으면 PC 화면에서 지정셀을 클릭하여 수식입력 줄에 함수가 적용되었는지 확인 25점
총점 200점
※ 위 채점 기준은 예시이며 출제되는 문제에 따라 채점 기준은 변경될 수 있음 ◦ 동점자 처리 기준 : 아래 순서로 처리 - 표 데이터 입력 및 서식 작성, 함수 영역 순으로 높은 점수를 받은 자 - 생년월일이 늦은 자 인터넷 검색 ◦ 참가 대상: 특수학교(급) 지체장애 초등 ◦ 문제 유형: 정보기술자격(ITQ) 인터넷 시험 출제기준 참조 ◦ 대회용 소프트웨어: Microsoft edge 또는 Chrome, 한컴오피스 2020 ◦ 대회 진행 방법 - 참가신청서에 따라 사전 승인된 보조공학기기에 한하여 대회 시작 15분 전까지 운영위원 입회하에 인솔자가 직접 설치 - 참가학생은 휴대전화 등 대회용 기기 외 기타 전자기기 소지 금지 - 인솔자는 대회 시작 10분 전 퇴장 - 운영위원은 대회 시작 5분 전에 문제지와‘유의사항 및 작성요령’배부 - 참가학생은 운영위원이 대회 시작을 안내하기 전까지 문제지와 유의사항 및 작성요령을 읽을 수 없음 ◦ 답안 작성 방법 : 작성된 답안 파일명은 ‘학교명 참가학생이름’(예: 길동학교 이순신.hwp)으로 바탕화면에 저장(학교명과 참가학생이름 사이에 한 칸 띄움) ※ 이미지 검색 파일은 반드시 지정된 이미지 크기로 변경하여 작성 ※ 답안 파일 작성 방법 미준수 시 ‘파일명 오류 -5점, 저장 위치 오류 –5점’으로 감점 처리 ◦ 출제 기준
구분 / 영역 문항번호 평가항목 문항점수
인터넷 윤리
(60점)
문제1 인터넷 일반(인터넷 윤리 및 인터넷 일반 검색 등) 30점
문제2 30점
인터넷 검색
(370점)
문제3 인터넷 활용I(웹 브라우저 활용 등) 30점
문제4∼5 실용 검색I(용어 검색 및 통계 등) 각 50점
문제6∼8 퍼즐 정보 검색 각 30점
문제9 인터넷 활용II(이미지 검색 등) 50점
문제10 실용 검색II(인터넷 생활 사이트 활용 등) 50점
문제11 1∼2 각 25점
정보가공
(70점)
문제12 1~3 정보가공(문제에 제시된 3개의 키워드와 1개의 이미지를 포함하여 지정된 양식에 따라 안내문 내용 완성) 각 10점
4 40점
총점 500점
◦ 채점 기준
구 분 평가항목 채점기준
전체 -답안은 작성하였으나 저장을 하지 못한 경우 -100점
-답안 파일명 오류 -5점
-저장 위치 오류 -5점
-미입력 해당 문제 0점
-지시사항과 관련 없는 특정 문자 삽입 각 -20점
인터넷 윤리(60점) -해당 답안의 번호를 정확히 기입해야 인정
인터넷 검색
(370점)
-해당 답안의 번호를 정확히 기입해야 인정
-이미지 크기 오류
-제시된 이미지만 정답으로 인정
-이미지 복사 및 저장, 프린트 스크린 방법 모두 정답으로 인정
이미지 크기오류
-15점
정보가공
(70점)
-해당 문제에 정확한 답안 작성
-제시된 이미지만 정답으로 인정
-이미지 복사 및 저장, 프린트 스크린 방법 모두 정답으로 인정
-이미지 크기 오류
-영어인 경우 대소문자는 구분하지 않음
이미지 크기오류
-15점
총점 500점
※위 채점기준은 예시이며 출제되는 문제에 따라 채점기준은 변경될 수 있음 ◦ 동점자 처리 기준 : 아래 순서로 처리 - 최종 답안 저장 시간이 빠른 자 - 인터넷 검색, 정보가공 영역 순으로 높은 점수를 받은 자 - 생년월일이 늦은 자 ◦ 유의 사항 : 다음의 경우 실격 처리 - 답안을 지정된 경로 외의 다른 보조기억장치에 저장하거나 기타 통신수단(이메일, 메신저, 네트워크 등)을 이용하여 외부로 반출하는 경우 프레젠테이션 ◦ 참가 대상: 특수학교(급) 발달장애 전공과 ◦ 문제 유형: 파워포인트(PPT) 작성 및 발표 ◦ 대회용 소프트웨어: MS오피스 2016 ◦ 대회 일정
구분 내용 비고
대회준비 주제 공지 대회 1달 전 대회 홈페이지를 통해 주제 공지(8월 초 예정)
파워포인트(PPT)
제작 연습
주제에 맞게 파워포인트(PPT) 제작 연습 제시된 채점기준 참조
대회당일 파워포인트(PPT)
작성 준비
파워포인트(PPT) 제작에 필요한 파일 개별 제출 작성에 필요한 파일은 개인용 USB에 저장하여 운영진에게 제출
발표 순서 결정 추첨을 통한 발표 순서 결정 파워포인트(PPT) 작성
20분 전 추첨
파워포인트(PPT) 작성 파워포인트(PPT) 작성(30분) 슬라이드 출력물 휴대
발표 준비 작성한 파워포인트(PPT) 토대로 발표 준비(20분) 인솔자 개입 허용
발표 발표(개인별 3~4분)
※ 4분 41초 초과 시 발표 종료
발표 순서에 따라 별도 무대에서 발표, 복장은 자유, 스토리보드나 시나리오 휴대 가능
◦ 세부일정 및 대회 운영방법 <대회 준비> - 대회 1달 전 발표 주제 공지(대회 홈페이지) - 채점기준에 맞추어 파워포인트(PPT)를 제작 연습 <대회 당일> - 프레젠테이션은 파워포인트(PPT) 작성(1부)과 발표(2부)로 나누어 진행 ※ 파워포인트(PPT) 작성(30분), 준비(20분), 발표(3∼4분) - 파워포인트(PPT) 작성 및 발표 준비는 동일 장소에서 운영 ※ 발표는 별도의 장소에서 진행 - 파워포인트(PPT) 작성에 필요한 파일(그림, 동영상 등)은 참가학생 본인 USB에 담아 발표 순서 추첨 전까지 운영위원에게 제출(폴더명 작성 방법: 학교명 참가학생이름) - 파워포인트(PPT) 작성 시 별도의 문제지가 제공되지 않음. 필요한 출력물(슬라이드 유인물 등) 개별 준비 - 파워포인트 작성 준비 개별 출력물에 슬라이드 내용 이외 불필요한 내용 여부 확인 - 참가학생은 대회용 기기 외 휴대전화 등의 기타 전자기기 소지 금지 - 인솔자는 파워포인트(PPT) 작성 시작 10분 전까지 퇴장 - 운영위원은 대회 시작 5분 전에 파워포인트(PPT) 작성에 필요한 파일을 PC 바탕화면에 저장 - 대회 종료를 알리는 운영위원의 안내에 따라 참가학생은 작성을 중지 - 20분의 발표 준비 시간(인솔자의 개입 허용)을 가진 후 추첨 순서에 따라 발표 - 정해진 순서에 따라 발표 준비 시작(답안 파일 및 PC 제공) - 제한된 시간 동안 발표는 참가학생이 직접 하며 외부인(인솔자 등)의 개입 금지 ※ 발표가 시작된 이후부터는 참가학생 스스로 PC를 조작하고, 파워포인트 및 동영상 등 실행 - 발표 시작 시“시작하겠습니다.”, 종료 시“감사합니다.”라고 말하여 발표의 시작과 종료를 표현 ※ 시작과 종료를 표현하지 않을 경우 운영진에서 임의로 발표 시간을 확인 - 발표 채점은 전문가 위원(5명)이 실시 ◦ 답안 작성 방법 : 작성된 답안 파일명은 ‘학교명 참가학생이름’(예: 길동학교 이순신.pptx)으로 바탕화면에 저장(학교명과 참가학생이름 사이에 한 칸 띄움) ※ 답안 파일 작성 방법 미준수 시 ‘파일명 오류 -5점’으로 감점 처리 ◦ 출제기준
구분 / 영역 평가항목 출제기준 배점
프레젠테이션 자료 기본 ▸전체 슬라이드 구성 내용을 평가
- 슬라이드 개수, 오탈자 및 띄어쓰기, 저장 위치 및 파일명 등
20점
기능 ▸다양한 기능 활용 여부 평가
- 도형 또는 워드아트 삽입 및 편집
- 그림 또는 동영상 삽입 및 편집
- 표 또는 차트 삽입 및 편집
- 스마트 아트 적용
- 전환 또는 애니메이션 기능 사용 및 편집
- 기타 기능 활용
80점
프레젠테이션 발표 발표 ▸발표의 내용, 흐름, 자세 등을 종합적으로 평가 50점
총점 150점
◦ 파워포인트 채점기준
평가항목 배점 평가영역 항목 당
배점
채점기준
기본 20점 오타, 띄어쓰기 한 개당 -1점(최대 -10점)
저장 위치 및 파일명 오류 저장 위치 및 파일명 오류
(각 –5점, 최대 -10점)
슬라이드 개수 20점 슬라이드 1장당 4점(표지 포함 5장)
기능 80점 도형 또는 워드아트 삽입 15점 3개 이상 각 5점
그림 또는 동영상 삽입 20점 4개 이상 각 5점
표 또는 차트 삽입 10점 표 또는 차트 적용시 10점
스마트아트 삽입 10점 스마트아트 적용시 10점
전환 또는 애니메이션
기능 사용 및 편집
20점 4개 이상 각 5점
슬라이드 번호 삽입 5점 슬라이드 번호 삽입 시 5점
총점 100점
※ 기능을 채점기준보다 추가하여도 항목당 배점을 초과하지 않음 ◦ 발표 평가항목 및 배점
구분 채점기준 점수
전문가 위원 평가 - 파워포인트(PPT) 디자인과 발표 내용이 조화를 이루는가? 10점
- 발표 내용이 논리적으로 구성되어 있는가? 10점
- 스토리보드 또는 시나리오에 과도하게 의존하지 않고 발표를 진행했는가? 10점
- 발표 과정이 자연스럽고 전달력이 뛰어난가? 10점
시간 평가 - 발표 시간 분배가 적절한가? 10점
◦ 발표 시간별 채점기준 및 배점
시간 점수
3분 ~ 4분 10점
2분 50초 ~ 2분 59초, 4분 1초 ~ 4분 10초 8점
2분 40초 ~ 2분 49초, 4분 11초 ~ 4분 20초 6점
2분 30초 ~ 2분 39초, 4분 21초 ~ 4분 30초 4점
2분 20초 ~ 2분 29초, 4분 31초 ~ 4분 40초 2점
2분 20초 미만, 4분 40초 초과 0점
◦ 발표 평가 점수배점
구분 전문가위원 점수 발표시간
배점 40점 10점 50점
◦ 발표 평가 채점기준 - 프레젠테이션 발표 인원에 대한 점수는 상대평가 방식으로 부여 - 전문가 위원 5명이 부여한 점수를 합산한 후 평균을 계산하여 등위 산출 - 전문가 위원 5명의 발표평가 등위 점수표
등위 점수 등위 점수
1 40점 10 17.5점
2 37.5점 11 15점
3 35점 12 12.5점
4 32.5점 13 10점
5 30점 14 7.5점
6 27.5점 15 5점
7 25점 16 2.5점
8 22.5점 17 0점
9 20점
◦ 동점자 처리 기준: 아래 순서로 처리 - 파워포인트(PPT) 작성 기능, 기본 영역 순으로 높은 점수를 받은 자 - 발표 평가에서 전문위원 평가, 시간 평가 순으로 높은 점수를 받은 자 - 생년월일이 늦은 자 ◦ 유의사항 - 파워포인트 작성, 발표 준비 및 발표에 사용할 PC는 대회 주최기관에서 제공. 발표 준비 시 제출한 파워포인트(PPT)는 수정이 불가능하며 본인이 작성한 파워포인트(PPT)를 확인하여 20분 동안 발표를 준비 - 파워포인트(PPT) 템플릿은 준비할 수 없음(파워포인트 2016에서 제공하는 기본 템플릿만 사용 가능) - 보안을 위해 프레젠테이션 대회의 모든 장소에서 인터넷을 사용할 수 없음 - 프레젠테이션 작성 시 사진 및 이미지(jpg 등), 동영상(avi, mp4, wmv) 파일만 사용 가능 (*.hwp, *.pptx 등의 파일은 반입 불가) - 동영상 재생 프로그램은 Window Media Player이며, 이외의 다른 플레이어를 사용 시 개인이 직접 설치 - 파워포인트 작성을 위해 준비한 개별 출력물에는 슬라이드 내용 이외 다른 내용을 넣을 수 없음(예를 들어 작성에 필요한 기능에 대한 설명은 넣을 수 없음) - 프레젠테이션 발표 시 복장은 자유이며 준비실에 입장할 때 대회 유니폼을 입고 입장하고 발표 복장은 준비 시간을 활용하여 갈아입음 - 포인터는 대회 본부에서 일괄 제공. 발표에 사용할 스토리보드 및 시나리오를 준비할 수 있음(이외의 개인 물품은 휴대 금지) 로봇 코딩(Dash) ◦ 참가 대상: 특수학교 청각장애 중ㆍ고 ◦ 문제 유형: 로봇 코딩 - 로봇유형: Dash(코딩로봇) - 코딩 프로그램 : Blockly(App Store, Google play 무료 설치) - 호환 모바일기기 : ‘IOS12’ 이상의 iPad 또는 iPhone, ‘Android 6+’이상의 모바일 기기Dash 로봇은 참가학생이 개별적으로 준비하여 본선 대회에 참가 ※ 대회 당일 안드로이드 기반 대회용 태블릿PC 제공(제공된 기기로만 경기에 참가) ◦ 대회 당일 일정
구분 내용 비고
출전 순서 결정 및
기기 점검
∘대회 시작 전 추첨을 통한 출전 순서 결정
∘로봇 및 태블릿 PC 점검
∘코딩에 필요한 로봇은 개별 준비
∘태블릿PC는 주최기관에서 제공
본선대회
코딩
∘과제수행 코딩(40분) ∘코딩 10분 전, 운영위원은 개인별 태블릿 PC 상태를 최종 확인
∘코딩 완료 후, 운영위원이 개인별 태블릿 PC와 로봇을 회수
본선대회
프로젝트 실행
∘과제수행 프로젝트 실행(5분) ∘출전 순서에 따라 별도 무대에서 프로젝트 실행
∘프로젝트 실행 10분 전, 개인별 태블릿 PC와 대시 로봇을 해당 학생에게 지급
◦ 대회 당일 세부 운영방법 - 로봇 코딩은 과제 및 미션수행 문제로 진행 ※ 코딩(40분), 과제수행 프로젝트(5분) - 코딩 후 프로젝트 실행은 공개된 별도의 대회 장소에서 진행 - 코딩은 참가학생이 준비한 로봇과 주최기관에서 제공하는 태블릿PC로 진행 - 참가학생 및 인솔자는 대회 시작 전 기기(태블릿PC, Dash로봇) 사전 점검 완료 - 참가학생 및 인솔자는 개별 준비한 로봇과 지급받은 태블릿PC의 이상 유무(블루투스 연결 등)를 점검하여야 하며, 기기 이상으로 인한 불이익은 본인에게 책임이 있음 - 참가학생 및 인솔자는 태블릿PC를 점검하여 사전 저장된 프로젝트가 없는지 확인 ※ 코딩 시작 전 운영위원이 기기를 확인하여 기본 프로젝트 외에 개별적으로 작성하여 저장한 프로젝트가 발견될 경우 부정행위로 간주하고 실격 처리 - 참가학생은 대회용 기기 외 휴대전화 등의 기타 전자기기 소지 금지 - 인솔자는 대회 시작 10분 전 퇴장 - 인솔자 퇴장 후 운영위원은 태블릿 PC 상태 최종 확인 - 운영위원은 대회 시작 5분 전, 문제지를 참가학생에게 배부. 참가학생은 문제지 표지의 ‘유의사항 및 답안 작성요령’을 숙지하며 운영위원의 안내가 있기 전까지 페이지를 넘겨서 문제를 열람할 수 없음 - 운영위원의 대회 시작 안내에 따라 참가학생은 코딩을 시작. 코딩은 40분간 진행되며 문제지에서 제시된 경기장 도면 및 조건을 고려하여 코딩 후 저장 - 경기장은 크기가 가로 240cm, 세로 150cm이며 30cm 격자가 가로로 8칸, 세로로 5줄 배치된 형태 (경기장 밖으로 이동 금지) - 대회가 진행되는 동안 로봇과 태블릿PC는 참가학생이 직접 조작하며, 외부인(인솔자 등)의 개입 금지 ※ 참가학생 스스로 코딩 및 로봇 조작 - 로봇은 상하좌우로만 이동이 가능하며 대각선 이동은 불가 - 출발 지점에서의 시작 방향은 참가학생이 결정
상, 하, 좌, 우로 이동 가능 대각선 이동 불가능
- 코딩을 완료한 경우 프로젝트명은 ‘학교명 참가학생이름’으로 저장하고 손을 들어 완료하였음을 표시한 뒤 로봇과 태블릿PC를 운영진에게 제출(답안 파일 작성 방법 미준수 시 파일명 오류 –10점) - 코딩 완료 시간은 참가학생이 운영위원에게 손을 들어 완료 의사를 표시한 시점을 기준으로 하며, 이후부터는 프로젝트 수정이 불가능함 - 프로젝트 실행은 참가학생 전원이 코딩을 모두 완료한 후 실시하며, 사전에 추첨한 출전 순서에 따라 진행(프로젝트 실행 10분 전 로봇과 태블릿PC를 지급하며, 참가학생은 블루투스 연결 등 기기 이상 유무를 스스로 점검. 인솔자는 개입할 수 없음) ※ 저장된 프로젝트를 임의로 수정할 수 없으며 적발 시 실격 처리 - 프로젝트 실행에서 ‘시작’버튼을 누른 후, 태블릿PC는 지정된 장소에 내려두어야 하며 운영위원의 허가 없이 참가학생이 임의로 조작할 수 없음 - 프로젝트 실행 중 기기 작동에 있어 오류 및 감점 요인이 발생한 경우, 참가학생은 추가 1회의 재시행 기회를 신청할 수 있음 - 로봇코딩 종목은 과제수행 점수, 미션수행 점수, 완주 점수를 종합하여 순위를 결정하며 동점자 발생 시 코딩의 효율성, 코딩 완료 시간을 순차적으로 반영하여 순위를 결정 ◦ 로봇 코딩 채점기준 - 배점(300점): 과제수행 120점, 미션수행 점수 120점, 완주 점수 60점
구분 과제수행 미션수행 완주 점수
배점 120점 120점 60점
내용 - 개당 20점
5개 × 20점 = 100점
- 모든 과제 성공 시 보너스 20점
- 개당 20점
5개 × 20점 = 100점
- 모든 미션 성공 시 보너스 20점
- 종료 지점에 도착 시
- 완주 점수 60점
감점
요소
① 프로젝트 실행 시 로봇이 해당 칸을 벗어나서 과제 및 미션 수행을 할 경우
회당 10점 감점 (기준: 로봇 바퀴 3개가 모두 해당 칸을 벗어날 경우 1칸 당)
② 일방통행 구역 진입 시 방향이 ⇧(시험지 기준 아래쪽에서 위쪽으로)가 아닐 경우
회당 10점 감점 (대시 로봇의 머리 방향과는 관련 없음)
③ 요철주의 구역 이동 시 대시 로봇 속도 ‘매우 느린’이 아닐 경우 회당 10점 감점
④ 통행금지 구역에서 멈추거나 통과한 경우 회당 10점 감점
총점 300점
※ 위 채점기준은 예시이며 출제되는 문제에 따라 평가영역 및 채점기준은 변경될 수 있음 - 채점 관련 세부사항 ∙ 로봇은 경기장 안에서만 이동이 가능하며, 이탈 후 다시 복귀해 미션을 진행할 경우 이탈 이후 득점은 인정하지 않음. ∙ 코딩한 프로젝트 파일을 채점 자료로 활용하며, 프로젝트 실행을 통해 수행 감점 요소를 확인 ∙ 과제 및 미션수행은 해당 칸 안에서 수행하여야 하며 정해진 칸을 벗어나서 수행할 경우 감점 처리 ∙ 과제수행의 경우 과제 수행 조건에서 요구하는 기준에 맞게 코딩해야 수행으로 인정 ∙ 프로젝트 코딩 상 감점 요소에 해당될 경우 각 감점 기준에 따라 감점 처리 ∙ 과제 및 미션수행 시 별도의 수행 순서는 없으며 참가학생 재량으로 이동 동선을 설계하여 수행. 채점에는 수행한 과제 및 미션의 개수를 반영함 ∙ 완주점수는 로봇이 종료 지점에 도착한 후 해당 미션을 완료했을 때 부여됨 ∙ 프로젝트를 제출하지 않을 경우 실격 처리 ◦ 동점자 처리 기준: 아래 순서로 처리 - 코딩 효율성이 우수한 자(코딩에 사용한 블록의 개수가 적을수록 코딩 효율성이 우수한 것으로 평가) - 코딩 완료 시간이 빠른 자(코딩을 얼마나 신속하게 완료하였는가를 평가, 참가학생이 운영위원에게 완료 의사 표시를 한 시점을 기준으로 함) - 과제수행, 미션수행 순으로 높은 점수를 받은 자 - 생년월일이 늦은 자 ◦ 유의사항 - 본선대회에서는 학교에서 준비한 로봇으로 참가하되, 태블릿PC는 대회 당일 주최기관에서 제공 - 대회 진행 중 외부인(인솔자 등)의 개입 금지 - 대회가 진행되는 전체적인 순서는 대회 당일 운영위원이 안내하며 참가학생 및 인솔자는 운영위원의 안내에 따라야 함 - 로봇과 태블릿PC의 조작이 허용된 시간 외에 기기를 조작할 경우 실격 처리 - 참가학생 및 인솔자가 개별 로봇을 준비하지 않았거나 고장으로 인해 개별 로봇을 사용할 수 없을 경우 주최기관이 준비한 대체 로봇으로 경기에 참여할 수 있으나 감점 처리함(-30점) (이 경우 주최기관의 대체 로봇을 사용하되 기기 이상에 대한 불이익은 본인에게 책임이 있음) 로봇 코딩(Turtle) ◦ 참가 대상: 특수학교 발달장애 고등 ◦ 문제 유형: 로봇 코딩 - 로봇유형 및 기기: Turtle(코딩 로봇) / PC - 코딩 프로그램: 엔트리(PC용 오프라인 버전 / 대회 시점의 최신 업데이트 버전) ※ 본선대회에서는 참가학생 개인이 준비한 터틀 로봇(동글 및 펜 포함)으로 참가하되, 엔트리 프로그램을 사용할 PC는 주최기관에서 제공 ◦ 대회 당일 세부 운영방법 - 로봇 코딩은 과제 수행 문제로 진행 ※ 코딩(40분) 후 과제별 프로젝트(.ent 파일 저장) 4개 및 결과지 4부 제출 - 로봇 코딩은 개인이 준비한 로봇(펜 포함)과 USB동글, 주최기관에서 제공하는 엔트리 프로그램으로 진행 - 참가학생 및 인솔자는 대회 진행 전 개별 준비한 로봇(펜 포함)과 주최기관이 제공하는 PC 간 연결 및 동작 여부, PC의 이상 유무 점검을 완료하여야 하며, 기기 이상 및 연결 불안정 등으로 인한 불이익은 본인에게 책임이 있음 - 참가학생 및 인솔자는 주최기관에서 제공하는 PC 점검 시, 사전에 저장된 프로젝트가 없도록 유의 ※ 코딩 시작 전 운영위원이 기기를 확인하여 기본 프로젝트 외에 개별적으로 작성하여 저장한 프로젝트가 발견될 경우 부정행위로 간주하고 실격 처리 - 참가학생은 대회용 기기 외 휴대전화 등의 기타 전자기기 소지 금지 - 인솔자는 대회 시작 10분 전 퇴장 - 운영위원은 대회 시작 5분 전, 출력한 문제지와 과제별 프로젝트 결과지를 참가학생에게 배부. 참가학생은 문제지 표지의 ‘유의사항 및 답안 작성요령’을 숙지하며 운영위원의 안내가 있기 전까지 페이지를 넘겨서 문제와 과제별 프로젝트 결과지를 열람할 수 없음 - 연습지 및 결과지는 A4 사이즈(210×297mm)로 과제별 총 3부씩(4과제, 총 12장) 제공함(결과지 추가 요구 시 제공) - 코딩 작업은 40분간 진행되며 프로젝트 결과지는 저장한 프로젝트 실행 결과와 일치하여야 함(일치하지 않는 경우 0점 처리함) ※ 40분의 코딩 작업 시간 종료 후 참가학생은 해당 시점까지 저장된 프로젝트를 임의로 수정할 수 없으며 적발 시 실격 처리 ※ 출발점 위치 선정 및 코딩 등 로봇 조작 일체를 참가학생이 스스로 해야 함 - 모든 과제는 터틀 로봇에 펜을 꽂고 실행하며 이동경로가 표시된 결과지를 제출함 - 주어진 과제는 순서에 상관없이 진행 가능함 - 프로젝트 실행 중 기기 작동 등의 오류가 발생한 경우 참가학생은 즉시 운영위원에게 알린 후 안내에 따라 조치하며, 운영위원의 판단하에 재시행 기회 부여 가능 ※ 참가학생의 실수로 인한 기기의 오작동은 재시행 기회를 부여하지 않음. - 코딩을 완료한 경우 PC의 바탕화면에‘학교명 참가학생이름 과제번호’로 프로젝트명을 저장(예: 길동학교 이순신 과제1)하여야 함 ※ 학교명, 참가학생이름, 과제번호 사이에 한 칸씩 띄움 (답안 파일 작성 방법 미준수 시 파일명 오류 –5점) - 채점위원은 제출된 결과지의 실행 결과 확인 시 펜으로 표시된 이동경로에서 ±3mm 오차범위를 인정함 ※ 단, 과제 수행 완성도와 직접적 연관이 있는 경우 혹은 오차범위 안 애매한 결과지는 모든 채점위원의 확인 및 동의하에 인정할 수 있음. - 코딩 완료 후 손을 들면 운영위원은 코딩 완료 시간을 확인하며, 참가학생은 운영위원에게 최종 결과지를 과제당 1장, 총 4장 제출함(이후 프로젝트 파일 조작 금지) ◦ 로봇 코딩 채점기준 - 배점(200점): 프로젝트 효율성 40점, 과제의 완성도 160점 - 프로젝트 효율성 배점기준(40점)
대상
과제
사용 블록 개수 점수
10개
이하
11개 12개 13개 14개 15개 16개 17개 18개 19개
이상
과제 미수행
과제1 10점 9점 8점 7점 6점 5점 4점 3점 2점 1점 0점
과제2 10점 9점 8점 7점 6점 5점 4점 3점 2점 1점 0점
과제3 10점 9점 8점 7점 6점 5점 4점 3점 2점 1점 0점
과제4 10점 9점 8점 7점 6점 5점 4점 3점 2점 1점 0점
과제 합계 점수 40점
- 과제수행 완성도 배점기준(160점)
대상
과제
오류 개수 점 수
0개 이하 1개 이하 2개 이하 3개 이하 4개 이하 5개 이상
과제1 40점 37점 34점 31점 28점 25점
과제2 40점 36점 32점 28점 24점 20점
과제3 40점 36점 32점 28점 24점 20점
과제4 40점 37점 34점 31점 28점 25점
과제 합계 점수 160점
※ 과제수행 완성도의 오류는 과제에서 실행하지 않은 항목의 개수를 의미함(예: LED색 변경 미사용, 다른 소리 사용, 길이 불일치 등)
문항 평가항목 채점 기준
공통사항 저장 위치 및 파일명 오류(파일 당 감점) -5점
출발점, 터틀 머리 방향오류(문항 당 감점) -5점
완성도 과제 1 코드 모든 미션 조건을 충족하는 코드 작성 여부 -3점
주어진 조건에 부합하는 소리 출력 여부 -3점
결과지 글자의 모양 일치 여부 -3점
글자의 길이 일치 여부 -3점
‘도착’칸 도착 및 글자의 연결 여부
- ±3mm 오차 인정
-3점
과제 1 합계
과제 2 코드 모든 미션 조건을 충족하는 코드 작성 여부 -4점
미션 순서 준수 여부 -4점
결과지 모든 미션 블록의 통과 여부 -4점
미션 블록 외 타 블록 접촉 여부 -4점
주어진 조건에 맞는 지점 도착 여부
- ±3mm 오차 인정
-4점
과제 2 합계
과제 3 코드 모든 미션 조건을 충족하는 코드 작성 여부 -4점
반복하기 블록 사용 여부 -4점
결과지 도형의 모양 일치 여부 -4점
도형의 길이 일치 여부 -4점
도형의 출발점으로의 회귀 여부
- ±3mm 오차 인정
-4점
과제 3 합계
과제 4 코드 모든 미션 조건을 충족하는 코드 작성 여부 -3점
주어진 조건에 부합하는 LED 출력 여부 -3점
결과지 주어진 미션 블록 중 3개 블록 통과 여부 -3점
직선을 이용한 미션 수행 여부 -3점
‘도착’칸에 대한 도착 여부
- ±3mm 오차 인정
-3점
과제 4 합계
※ 위 배점 및 채점기준은 예시이며, 실제 출제되는 문제에 따라 기준은 변경될 수 있음 ◦ 동점자 처리 기준: 아래 순서로 처리 - 코딩 완료 시간에서 순위가 높은 자 ※ 코딩 완료 시간: 대회 시작 후부터 과제 저장 후 손을 들어 완료 의사를 표시한 순간까지의 시간 - 과제수행 완성도에서 높은 점수를 받은 자 - 프로젝트 효율성에서 높은 점수를 받은 자 - 생년월일이 늦은 자 ◦ 유의사항 - 대회 참가 간 규정 외 물품(자, 각도기 등)은 사용 불가 - 각 과제의 출발점에 있는 터틀 아이콘의 모양을 확인한 후 아이콘의 모양과 같은 머리 방향으로 터틀 로봇을 놓고 시작하여야 함 - 로봇의 배터리는 개별적으로 완충한 상태에서 대회에 참가해야 하며 대회 진행 중 배터리의 충전은 불가 - 프로젝트 결과지는 저장한 프로젝트 실행 결과와 일치해야 함 - 로봇과 PC의 조작이 허용된 시간 외에 기기를 조작할 경우 실격 처리 SW코딩 ◦ 참가대상: 특수학급 발달장애 고등, 특수학급 지체장애 중ㆍ고 ◦ 문제 유형: 블록 코딩 ◦ 대회용 소프트웨어 : 엔트리(PC용 오프라인 버전 / 대회 시점의 최신 업데이트 버전) ◦ 세부일정 및 대회 운영방법 - 대회 문제는 한국생산성본부에서 시행하는 ‘SW코딩자격’시험의 2급(과목3. 프로그래밍언어의 이해와 프로그래밍), 3급(과목2. 기본프로그래밍) 수준에 해당하는 문제로 구성하되 문제의 난이도는 A난이도와 B난이도를 혼합하여 설정함. 총 10문항이 출제됨 - SW코딩 종목은 40분 동안 제시되는 10개의 문제를 코딩해야 함 ※ 문제지는 A4 사이즈로 제공함 - 참가학생과 인솔자는 대회 시작 15분 전까지 운영위원의 안내하에 자신의 PC셋팅 상태를 확인하여야 하며 PC의 하드웨어 및 소프트웨어에 문제가 있을 경우 운영위원에게 즉시 알려 조치를 받아야 함. 이후 PC 이상으로 인해 발생하는 문제는 본인의 책임 - 참가학생은 대회용 기기 외 휴대전화 등의 기타 전자기기 소지 금지 - 인솔자는 대회 시작 10분 전 퇴장 - 지체장애 참가학생은 PC의 셋팅 상태와 참가학생 좌석(책상, 의자) 상태를 점검하고, 이상이 있을 경우 운영위원에게 알려 조치하여야 함. 점검 시간 이후 발생하는 문제는 본인의 책임 - 제공된 장비 외의 보조공학기기는 사전에 요청한 기기만 반입할 수 있으며, 사용 전 운영위원의 점검을 받은 후 설치하고 장비의 이상 유무를 확인하여야 함. 보조공학기기의 이상으로 발생하는 문제는 본인의 책임 - 대회 시작 5분 전 참가학생에게 문제지를 배부하며 참가학생은 대회 시작을 안내하기 전까지 문제지를 읽을 수 없음 - 운영위원의 대회 시작 안내에 따라 참가학생은 코딩을 시작 - 코딩 작업은 40분간 진행되며, 코딩 완료 후 손을 들어서 운영위원에게 알린 후 완료시각 확인과 함께 답안 파일 제출 - 코딩 완료 후 운영위원이 완료시각을 확인하고 답안 파일을 제출한 후에는 프로젝트 파일 수정 불가 - 대회 종료 시간까지 답안 작성 파일을 완성하지 못한 경우, 종료 직후 운영위원의 안내에 따라 종료 시점까지 진행된 답안 작성 파일을 저장 ※ 답안 파일 제출 시간은 엔트리 파일 저장 시간을 기준으로 함. 최종 저장 후 다시 저장 버튼을 누르지 않도록 주의함 ◦ 답안 작성 방법 - 바탕화면에 저장된‘SW코딩 답안’폴더 안의 답안 파일을 활용하여 코딩을 수행 - 대회 시작 후 제공된‘SW코딩 답안’의 폴더명을 ‘학교명 참가학생이름’(예: 길동학교 이순신)으로 변경해야 하며 바탕화면에 저장된 폴더의 위치 및 폴더 안에 들어 있는 답안파일의 파일명은 임의로 변경할 수 없음 ※ 답안파일 작성 방법 미준수 시 ‘학교명 참가학생이름’이 아닌 다른 이름으로 폴더명 변경 –5점, 저장 위치 변경 –5점으로 감점 처리 ※ 답안 작성 파일명(문항 번호)을 임의로 변경할 경우 해당 문항은 0점 처리 ◦ 참가대상별 출제 기준 【참가대상 A】특수학급 발달장애 고등: 블록제공 6문제, 블록탐색 4문제 【참가대상 B】특수학급 지체장애 중·고: 블록제공 7문제, 블록탐색 3문제 ▶ 블록제공 문항: [블록 조립소]에 제시된 블록을 활용하여 코딩하는 문항
▶ 블록탐색문항: [블록 꾸러미]에서 참가학생이 직접 블록을 선택하는 문항
◦ 참가대상별 채점 기준 【참가대상 A】 특수학급 발달장애 고등 - 배점(170점): 블록제공 문항당 10점(총 60점), 블록탐색 문항당 15점(총 60점), 전체 완성 추가 점수(총 50점) 【참가대상 B】 특수학급 지체장애 중ㆍ고 - 배점(165점): 블록제공 문항당 10점(총 70점), 블록탐색 문항당 15점(총 45점), 전체 완성 추가 점수(총 50점) - 기본적으로 한 문제당 동작이 완성되면 블록제공 문항은 문항당 10점, 블록탐색 문항은 문항당 15점 부여 - 문항 내 전체 동작이 오타 없이 완성되어 실행되면 추가 점수 5점 부여(10문항, 최대 50점) - 코딩 완료 시간: 동점자 발생 시 순위 결정에 최우선 반영 - 감점 항목
항목 감점 비고
답안 폴더명 오류 전체점수에서 –5점
답안 폴더 저장 위치 오류 전체점수에서 –5점
문자 입력 시 오타 부호, 띄어쓰기, 오타 글자 수당 -1점 띄어쓰기와 부호를 포함하여 문항에 제시된 문자 입력 내용과 동일해야 함
답안 파일명(문항번호) 임의 변경 해당 문항 0점 처리
문항에 주어진 조건이 작동하지 않은 경우 문항조건 당 -5점 블록제공문항은 조건 2개, 블록탐색문항은 조건 3개 이상 오류시 0점
◦ 동점자 처리 기준: 아래 순서로 처리 - 코딩 완료 시간에서 순위가 높은 자 - 블록탐색문항들의 합계 점수가 높은 자 - 생년월일이 늦은 자 스마트 검색 ◦ 참가대상: 특수학급 발달장애 중학 ◦ 문제 유형: 스마트기기를 활용한 정보 검색 ◦ 대회용 기기: 안드로이드 기반 태블릿 PC ※ 대회에 사용할 태블릿 PC는 참가학생 개인이 준비하며, 모든 어플(Instagram 등)이 원활하게 실행될 수 있는 안드로이드 6.0 이상의 사양 권장 ※ 태블릿PC 미지참시 대여 가능 ◦ 세부일정 및 대회 운영방법 - 스마트 검색은 40분 동안 제시되는 10개의 문제를 스마트기기를 활용하여 해결하는 종목 - 대회 문제는 국립특수교육원에서 임명한 출제위원이 스마트기기 기본 앱 활용 능력, 정보 검색, SNS 활용 능력, 실생활 활용 능력의 영역으로 출제 - 참가학생 및 인솔자는 대회 시작 전 스마트기기 점검 완료 ※ 기기 및 프로그램 이상에 대한 책임은 참가학생 본인에게 있음 - 로그인이 필요한 앱(Instagram 등)의 경우 대회 시작 전 로그인 할 수 있음 - 참가학생은 대회용 기기 외 휴대전화 등의 기타 전자기기 소지 금지 - 인솔자는 대회 시작 10분 전 퇴장 - <유의사항 및 작성요령>과 문제지를 함께 배부한 후 대회 시작과 함께 40분 후에 종료 - 문제지에 있는 QR코드를 스캔하여 온라인 설문지(구글 설문지) 화면으로 이동한 후, 각 문제에 제시된 번호에 맞게 이미지 캡처 파일 업로드※ 온라인 설문지 접속 시 구글 아이디 및 비밀번호가 필요하므로 사전 로그인 설정 또는 메모하여 준비할 것 - 캡처한 이미지를 업로드할 때, 섹션당 하나의 파일만 업로드하여야 하며 2개 이상의 파일이 업로드된 경우 해당 문항은 오답 처리 - 답안을 작성한 용지 및 문제지는 운영위원에게 제출하여야 하며 제출 완료 후에는 태블릿 PC를 조작할 수 없음 - 과제완료시간은 운영위원에게 답안용지 및 문제지를 제출한 시간으로 함 - 대회 중 네트워크 연결 문제가 발생할 경우 참가학생은 운영위원에게 해당 사실을 알리고 안내에 따라 조치 - 참가학생은 다음의 앱을 활용하기 위한 개인 계정을 준비하여 대회 진행에 차질이 없도록 해야 하며, 해당 계정의 준비 미비로 인한 불이익은 참가학생 본인에게 있음 ※ 참가학생의 계정 준비가 어려울 경우 보호자 또는 교사의 계정 사용 가능 ◦ Instagram(인스타그램), 네이버 블로그 계정(2개 SNS앱 중 1개를 선택하여 문항 출제) ◦ 코레일, SRT 회원번호 및 비밀번호(2개 철도앱 중 1개를 선택하여 문항 출제) ◦ 롯데시네마, CGV, 메가박스 아이디(3개 영화관앱 중 1개를 선택하여 문항 출제) ◦ G마켓, 11번가, 옥션 아이디(3개 쇼핑몰앱 중 1개를 선택하여 문항 출제) ◦ 배달의 민족, 요기요 아이디(2개 배달앱 중 1개를 선택하여 문항 출제) ※ 위의 앱 중 문항별 하나의 앱을 무작위로 선정하여 출제 예정 - 참가학생은 다양한 앱의 계정과 비밀번호를 아래의 표 양식에 맞춰 A4 용지에 기입하여 반입 및 소지할 수 있으며, 아이디 및 비밀번호 외의 불필요한 내용 기입 여부를 운영위원에게 확인받아야 함
내용 아이디 비밀번호
구글 e-mail
Instagram(인스타그램) 계정
코레일
◦ 답안 작성 및 제출 방법 - 1~5번 문제는 스마트기기로 정보를 검색한 후 답안 작성 용지에 자필로 답안을 기록 - 6~10번 문제는 온라인 설문지(구글 설문지)에 게시글을 남기거나 캡처 이미지 업로드 - 답안 작성 및 온라인 설문지 제출을 완료한 참가학생은 손을 들어 운영위원에게 알린 후 답안 작성 용지 및 문제지 제출 ◦ 출제 기준 및 채점 기준
구분 문항번호 평가항목 배점
스마트기기 기본 앱 활용 능력 문제1 달력 기능 활용 20점
문제2 계산기 기능 활용 40점
정보검색능력 문제3 정보 검색 40점
문제4 50점
문제5 50점
SNS 및 실생활 활용 능력 문제6 SNS 활용 능력 50점
문제7 실생활 활용 능력 50점
문제8
50점
문제9
50점
문제10
100점
총점 500점
※ 출제 및 채점 기준은 대회 문제에 따라 변경될 수 있으며, 부분점수 없음 ◦ 동점자 처리 기준: 아래 순서로 처리 - 과제 완료 시간에서 순위가 높은 자 - 실생활 활용 능력 영역에서 합계 점수가 높은 자 - 정보 검색과 SNS 활용 능력 영역의 합계 점수가 높은 자 - 생년월일이 늦은 자 동영상 제작 ◦ 참가 대상: 특수학교 발달장애 중・고 / 특수학급 발달장애 중・고 ◦ 문제 유형: 스마트기기를 활용한 동영상 제작 ◦ 대회용 소프트웨어: VITA(App Store, Google play 무료 설치) ◦ 대회용 기기: 안드로이드 기반 태블릿PC 사용 ※ 대회 당일 안드로이드 기반 대회용 태블릿PC 제공, 제공된 기기로만 경기 참여 ◦ 대회 운영 방식 - 40분 동안 제시되는 이미지 및 영상 파일을 가지고 스마트 기기를 활용하여 문제를 해결하는 종목 ※ 이미지 및 영상 파일은 대회용 기기 앨범(사진첩)에 저장되어 있음 - 문제지에 제시된 미션 5개를 수행하여 1분 20초에서 1분 40초의 동영상을 제작 - 대회용 태블릿PC는 주최 측이 제공하며 참가학생 및 인솔자는 대회 시작 전 준비 시간 20분 동안 기기 점검 완료 ※ 점검 이후 대회용 태블릿PC 및 소프트웨어(앱) 등 이상에 대한 책임은 참가학생 본인에게 있음 - 참가학생은 대회용 기기 외 휴대전화 등의 기타 전자기기 소지 금지 - 인솔자는 대회 시작 10분 전 퇴장 - <유의사항>과 문제지를 함께 배부한 후 대회 시작 - 대회는 40분간 진행되며, 과제 완료 시각은 운영위원에게 손을 들어 태블릿PC를 제출한 시간으로 함 - 대회 중 소프트웨어(앱) 문제가 발생할 경우 참가학생은 운영위원에게 해당 사실을 알리고 안내에 따라 조치 ◦ 답안 작성 방법 : 완성된 동영상 답안 파일은 두 가지 형식으로 제출 -『VITA 앱』 VITA 앱에 프로젝트 파일을 저장할 때, 반드시 제목을‘학교명 참가학생이름’형식으로 ‘제목 수정’하여 제출(예: 길동학교 이순신)  -『태블릿PC 갤러리』‘내보내기’한 비디오 파일의 제목을 반드시‘학교명 참가학생이름’(예: 길동학교 이순신)으로 ‘제목 수정’하여 제출(학교명과 참가학생이름 사이에 한 칸 띄움) ※ 비디오 파일 제목 형식을 미준수할 시, ‘제목 오류’로 -5점 감점 - 『태블릿PC 갤러리』‘내보내기’를 통하여 비디오 파일(확장자 mp4)을 태블릿PC 갤러리(사진첩)에 저장하여 제출 ※ ‘내보내기’ 하지 않은 경우, 미제출로 간주하여 ‘파일 미제출’로 –80점 감점 처리 후, VITA 앱 내 작성 중인 프로젝트 파일을 확인하여 채점 ◦ 답안 미제출 시(비디오 파일로 ‘내보내기’하지 않은 경우) - ‘내보내기’하지 않은 경우 미제출로 간주하여 미제출 감점(-80점) 후 작성 중인 파일을 저장하여 채점함 ◦ 출제 기준
구분 / 영역 배점 출제기준
이미지 100 ▸파일 순서와 조건에 맞게 배치하는 능력 평가
- 이미지 및 동영상을 조건에 맞게 배치
- 썸네일 제작, 템플릿, 프레임, 텍스트, 스티커 삽입 및 활용 여부
텍스트 100 ▸이미지 및 영상에 알맞은 키워드 및 자막 텍스트 삽입 여부 평가
- 제시된 글꼴, 스타일, 자막, 타이틀, 애니메이션 조건 적용 여부
- 키워드 활용한 자막 텍스트 작성, 배치 및 최소 글자 수 체크
사운드 50 ▸사운드의 적절하고 조화로운 삽입 여부 평가- 제시된 배경 음악, 효과음 삽입 및 페이드 인(아웃) 활용
편집 120 ▸재생 시간을 준수한 편집 능력 평가
- 전체 재생 시간을 준수한 편집
- 각 기본 이미지 및 동영상 재생 시간 설정
▸제시된 조건에 맞는 편집 적용 능력 평가
- 제시된 위치에서의 애니메이션, 필터, 크기, 회전, AI효과를 활용한 편집 적용
효과 30 ▸제시된 화면 메뉴 및 트랜지션 활용 능력 평가
- 제시된 위치에서의 페이드인(아웃), 줌인(아웃) 등 효과 활용
- 제시된 위치에서의 트랜지션 활용
총점 400점
◦ 채점 기준
구분 평가항목 점수
이미지 ⦁제시된 이미지 및 동영상 배치, 파일별 5점(50점)
  - 썸네일 이미지 1개, 기본 이미지 10개, 기본 동영상 1개 → 총 12개
  - 특수학급 12개, 특수학교 11개(*썸네일 이미지 1개 제작은 필수, 배치는 제외)
50점
⦁썸네일 꾸미기(템플릿 또는 프레임, 텍스트, 스티커 활용), 조건별 10점(총 5개) 50점
텍스트 ⦁제시된 필수 키워드를 사용한 자막 텍스트 입력, 각 5점(총 10개)
  - 특수학급 자막 텍스트 최소 15자 이상, 특수학교 자막 텍스트 최소 10자 이상
50점
⦁제시된 조건(글꼴, 스타일, 자막, 타이틀, 애니메이션)에 알맞은 꾸미기 조건 적용
  - 특수학급 각 5점(총 10개), 특수학교 각 10점(총 5개)
50점
사운드 ⦁제시된 조건에 알맞은 배경음악 추가(영상 길이와 배경음악 길이 맞추어 삽입) 30점
⦁효과음, 페이드 인, 페이드 아웃 활용, 조건별 10점(총 2개) 20점
편집 ⦁전체 재생시간 조건 편집(1분 20초~1분 40초) 20점
⦁이미지별 장면 재생 시간 설정 편집, 각 5점(총 10개) 50점
⦁제시된 조건(애니메이션, 필터, 크기, 회전, AI효과)에 알맞은 편집 적용, 각 10점(총 5개) 50점
효과 ⦁제시된 조건(효과 메뉴, 트렌지션)에 알맞은 효과 적용, 각 10점(총 3개) 30점
◦ 동점자 처리기준 : 아래 순서로 처리 - 텍스트, 편집, 이미지, 사운드, 효과 영역 순으로 높은 점수를 받은 자 - 과제 완료 시간에서 순위가 높은 자 - 생년월일이 늦은 자 엑셀 B (ITQ) - 저시력 (시범종목) ◦ 참가 대상: 특수학교, 일반학교 일반학급·특수학급 시각장애(저시력) 중·고등 ◦ 문제 유형: 정보기술자격(ITQ) 엑셀 시험 출제 기준 참조 ◦ 대회용 소프트웨어: MS오피스2016 엑셀 ◦ 대회 진행 방법: - 참가학생과 인솔자는 대회 시작 20분 전까지 대회장으로 입장 - 참가학생은 대회용 기기 외 휴대전화 등의 기타 전자기기 소지 금지 - 인솔자는 대회 시작 10분 전 퇴장 - 참가학생과 인솔자는 정해진 자리에 앉은 후 PC의 세팅 상태를 점검하고 이상이 있으면 운영위원에게 알려 조치. 이후 PC 이상으로 인해 발생하는 문제는 본인의 책임 ∙ 인솔자는 참가학생을 정해진 자리에 앉게 하고 PC 상태 점검 후 퇴실 ∙ 참가학생이 준비해 온 키보드나 마우스로 교체 가능 - PC의 모니터는 사전에 선택하도록 함: 27인치, 32인치 중 선택 - PC의 화면 확대 프로그램은 사전에 선택하도록 함: Windows 돋보기, Zoomtext2023, Lux Zoom 2.0 중 선택(자간 –6) - PC 화면 설정은 참가자가 변경할 수 있으나, 변경으로 인한 문제는 참가자의 책임임(고대비 설정, 폰트 모양과 크기 조절, 마우스 포인터 크기 및 색상 변경, 화면 해상도, 화면 배율 등) - 참가학생이 준비해 온 키보드나 마우스 사용은 가능하나 이로 인한 문제는 본인의 책임 - 문제지 및 유의 사항 등을 확인하기 위한 독서확대기의 사용은 가능하나 대회 시작 전 운영위원에게 반드시 사전 점검을 받아야 함(확대 기능 이외에 저장된 이미지나 녹음파일 확인) - 참가학생은 대회 시작 15분 전까지 운영위원의 감독하에 자신의 PC 세팅 상태 확인 후 개인 기기 변경 - PC의 하드웨어 및 소프트웨어에 문제가 있는 경우 손을 들어 운영위원의 지원 요청 - 운영위원은 시험 시작 10~5분 전에 참가학생에게 사전에 조사된 확대 문자 ‘유의사항 및 작성요령’을 배부하고 참가학생은 해당 지시사항 확인 - 운영위원은 시험 시작 5분 전에 각 참가학생에게 문제지 배부, 시험 시작 전에 문제지, 문제 파일을 보는 경우 실격 처리 - 문제는 확대 문자 시험지(A3)와 파일(HWP)로 제공(사전 조사된 확대 배율 적용: 10pt, 14pt, 18pt, 22pt, 28pt) - 문제 풀이용 엑셀 파일은 바탕화면에 배치되며, 참가학생은 시험 시작 전까지 엑셀 파일을 열 수 없음 - 운영위원은 시험 시작 1분 전에 모든 PC 모니터의 이상 유무를 확인 - 시험 시작을 알리는 운영위원의 알림과 함께 문제 풀이 시작 - 운영위원은 참가학생이 작성한 문서 파일을 저장할 수 있도록 시험 종료 5분 전과 1분 전에 참가학생에게 남은 시간 안내 ◦ 답안 작성 방법 : 작성된 답안 파일명은 ‘학교명 참가학생이름’(예: 길동학교 이순신.xlsx)으로 바탕화면에 저장(학교명과 참가학생이름 사이에 한 칸 띄움) ※ 답안 파일 작성 방법 미준수일 때 ‘파일명 오류 -5점, 저장 위치 오류 –5점’으로 감점 처리 ◦ 출제 기준
구분 / 영역 배점 출제 기준
데이터 입력

서식 작업
100점 ▸출력 형태의 표를 편집하고 조건에 따른 서식 변환 및 함수 사용 능력 평가
  - 데이터 입력 및 셀 편집
  - 도형을 이용한 제목 작성 및 편집
  - 이름 정의, 유효성검사 등
함수 50점 ▸함수 사용 능력 평가
  - 함수를 이용한 수식 작성(함수 출제 범위 참고)
  - 계산식 활용, 함수의 활용, 상대주소 및 절대주소 활용, “&” 연산자 사용
차트 50점 ▸차트 사용 능력 평가
  - 기본 데이터를 이용하여 보기 쉽게 차트로 표현(함수 출제      범위 참고)
  - 차트 위치 및 서식
  - 차트 옵션 변경
총점 200점
함수
출제 범위
날짜/시간 함수 -YEAR, MONTH, DAY, HOUR, MINUTE, SECOND, NOW, TIME, DATE
수학/삼각 함수 -SUM, ROUND, ROUNDUP, ROUNDDOWN, SUMIF, SUMIFS, MOD
통계 함수 -AVERAGE, AVERAGEA, COUNT, COUNTA, COUNTIF, RANK, MODE, DAVERAGE, DCOUNT, DCOUNTA, DMAX, DMIN, DSUM
찾기/참조 함수 -CHOOSE, HLOOKUP, VLOOKUP
텍스트 함수 -LEFT, MID, RIGHT, PROPER, UPPER, LOWER, LEN
논리 함수 -AND, IF, OR, TRUE, FALSE
◦ 출제 기준
문항 평가항목 채점 기준
공통사항 오․탈자, 띄어쓰기 셀 당 1점 감점 각 –1점
저장 위치 및 파일명 오류 각 -5점
시트 이름, 순서 오류 각 -5점
표 데이터 입력 및 서식 작성
(100점)
문제에서 제시한 대로 표 데이터 입력 및 서식을 작성하였는가? 10점
제목 셀을 정확하게 정렬하였는가? 10점
제목 셀을 주어진 서식에 맞게 적용하였는가? 10점
해당 영역을 “가로․세로 가운데 맞춤”으로 정렬하였는가? 10점
해당 영역을 ‘셀 병합 후 가운데 맞춤’ 하였는가? 10점
해당 영역에 맞게 셀 서식을 이용하여 ‘천 단위 구분 기호’를 사용하고 오른쪽으로 정렬하였는가? 10점
문제에서 제시한 대로 행 높이를 적용하였는가? 10점
해당 영역의 내용을 정확하게 입력하였는가? 10점
지정된 영역을 모든 테두리()로 설정하였는가? 10점
지정된 셀 영역의 메모를 정확하게 입력하였는가? 10점
함수
(50점)
(11번) 정답지 확인 후 정답이 맞으면 PC 화면에서 지정셀을 클릭하여 수식입력 줄에 함수가 적용되었는지 확인 15점
(12번) 정답지 확인 후 정답이 맞으면 PC 화면에서 지정셀을 클릭하여 수식입력 줄에 함수가 적용되었는지 확인 15점
(13번) 정답지 확인 후 정답이 맞으면 PC 화면에서 지정셀을 클릭하여 수식입력 줄에 함수가 적용되었는지 확인 10점
(14번) 정답지 확인 후 정답이 맞으면 PC 화면에서 지정셀을 클릭하여 수식입력 줄에 함수가 적용되었는지 확인 10점
차트
(50점)
차트 생성: 문제 조건에 맞는 차트를 삽입하였는가? 10점
차트 제목 설정: 차트 제목이 적절하게 입력하였는가? 10점
축 제목 설정: 가로축 및 세로축 제목을 적절히 입력하였는가? 10점
데이터 레이블 적용: 데이터 값이 표시되도록 레이블을 추가하였는가? 10점
차트 스타일 적용: 차트 색상, 글꼴, 크기 등을 적절히 조정하였는가? 10점
총점 200점
※ 위 채점 기준은 예시이며 출제되는 문제에 따라 채점 기준은 변경될 수 있음 ◦ 동점자 처리 기준 : 아래 순서로 처리 - 표 데이터 입력 및 서식 작성, 함수, 차트 영역 순으로 높은 점수를 받은 자 - 생년월일이 늦은 자 SW코딩 – 보조공학기기 (시범종목) ◦ 참가대상: 특수학교(급) 지체장애(보조공학기기) 초ㆍ중ㆍ고등 [특수학교(급) 지체장애(보조공학기기) 초·중·고등] 특수학교(급)의 초․중․고등학교에 재학 중인 지체장애를 가진 학생으로서 장애정도가 심한 장애인이어야 하고, 상․하지의 장애로 인해 1개 이상의 보조공학기기를 필요로 하는 학생 ※ 보조공학기기는 컴퓨터 사용을 지원하는 입력기기로 마우스 스틱, 타이핑 보조도구, 조이스틱, 트랙볼, 키가드, 헤드마스터(head master), 발 마우스(foot mouse), 화면키보드(on-screen keyboard), 한손 키보드, 마우스 스틱용 키보드, 대체 키보드 등 ※ 참가학생은 예선대회 시 장애 정도를 확인할 수 있는 서류(장애인 복지카드 등)를 통해 자격을 확인받아야 함 ◦ 문제 유형: 블록 코딩 ◦ 대회용 소프트웨어 : 엔트리(PC용 오프라인 버전 / 대회 시점의 최신 업데이트 버전) ◦ 세부일정 및 대회 운영방법 - 대회 문제는 한국생산성본부에서 시행하는 ‘SW코딩자격’시험의 3급(과목2. 프로그래밍 설계) 수준에 해당하는 문제로 구성함 - SW코딩 종목은 40분 동안 제시되는 총 8개의 문제를 코딩해야 함 ※ 문제지는 A4 사이즈로 제공함 - 특수학교(급) 지체장애(보조공학기기) 초·중·고 참가학생은 사용할 보조공학기기 1개 이상을 반드시 참가신청서에 기재 - 참가학생이 보조공학기기를 2개 이상(동일한 목적의 보조공학기기 중복 사용불가) 사용할 경우 총점에서 25점 가점 부여 - 참가학생이 사용하는 보조공학기기가 어떤 입력기기를 대체하는 것인지 참가신청서에 명시하고 해당 입력기기는 대회 시작 전에 제거 - 설치 허가된 보조공학기기에 한하여 대회 시작 20분 전까지 운영위원 입회하에 인솔자가 직접 설치 - 참가학생은 대회용 기기 외 휴대전화 등의 기타 전자기기 소지 금지 - 인솔자는 대회 시작 10분 전 퇴장 - 운영위원은 대회 시작 5분 전에 문제지를 배부하고 참가학생은 대회 시작을 안내하기 전까지 문제지를 읽을 수 없음 - 참가학생은 대회 시작 15분 전까지 운영위원의 안내 하에 자신의 PC 셋팅 상태를 확인하여야 하며 PC의 하드웨어 및 소프트웨어에 문제가 있을 경우 운영위원에게 즉시 알려 조치를 받아야 함. 이후 PC 이상으로 인해 발생하는 문제는 본인의 책임 - 운영위원의 대회 시작 안내에 따라 참가학생은 코딩을 시작 - 코딩 작업은 40분간 진행되며, 코딩 완료 후 손을 들어서 운영위원에게 알린 후 파일 저장 시간 확인과 함께 답안 파일 제출(최종 저장 후 다시 저장 버튼을 누르지 않도록 주의함) - 코딩 완료 후 운영위원이 완료시각을 확인하고 답안 파일을 제출한 후에는 프로젝트 파일 수정 불가 - 대회 종료 시간까지 답안 작성 파일을 완성하지 못한 경우, 종료 직후 운영위원의 안내에 따라 종료 시점까지 진행된 답안 작성 파일을 저장 ◦ 답안 작성 방법 - 바탕화면에 저장된‘SW코딩 답안’폴더 안의 답안 파일을 활용하여 코딩을 수행 - 대회 시작 후 제공된‘SW코딩 답안’의 폴더명을 ‘학교명 참가학생이름’(예: 길동학교 이순신)으로 변경해야 하며 바탕화면에 저장된 폴더의 위치 및 폴더 안에 들어 있는 답안 파일의 파일명은 임의로 변경할 수 없음 ※ 답안파일 작성 방법 미준수 시 ‘학교명 참가학생이름’이 아닌 다른 이름으로 폴더명 변경 –5점, 저장 위치 변경 –5점’으로 감점 처리 ※ 답안 작성 파일명(문항 번호)을 임의로 변경할 경우 해당 문항은 0점 처리 ◦ 출제 기준:블록제공 6문제, 블록탐색 2문제 ▶ 블록제공 문항: [블록 조립소]에 제시된 블록을 활용하여 코딩하는 문항
▶ 블록탐색문항: [블록 꾸러미]에서 참가학생이 직접 블록을 선택하는 문항
◦ 채점 기준 - 배점(130점): 블록제공 문항당 10점(총 60점), 블록탐색 문항당 15점(총 30점), 전체 완성 추가 점수(총 40점) - 기본적으로 1문제당 동작이 완성되면 블록제공 문항은 문항당 10점, 블록탐색 문항은 문항당 15점 부여 - 문항 내 전체 동작이 오타 없이 완성되어 실행되면 추가 점수 5점 부여(8문항, 최대 40점) - 보조공학기기를 2개 이상 사용할 경우 총점에서 25점 가점 부여 - 코딩 완료 시간(파일 저장 시간): 동점자 발생시 순위 결정에 최우선 반영 - 감점 항목
항목 감점 비고
답안 폴더명 오류 전체점수에서 –5점
답안 폴더 저장 위치 오류 전체점수에서 –5점
문자 입력 시 오타 부호, 띄어쓰기, 오타 글자수당 -1점 띄어쓰기와 부호를 포함하여 문항에 제시된 문자 입력 내용과 동일해야 함
답안 파일명(문항번호) 임의 변경 해당 문항 0점 처리
문항에 주어진 조건이 작동하지 않은 경우 문항조건 당 -5점 블록제공문항은 조건 2개, 블록탐색문항은 조건 3개 이상 오류시 0점
◦ 동점자 처리 기준: 아래 순서로 처리 - 블록탐색문항들의 합계 점수가 높은 자 - 생년월일이 늦은 자 ◦ 유의 사항 : 다음의 경우 실격 처리 - 특수학교(급) 지체장애 초·중·고등(보조공학기기) 대회 참가학생이 보조공학기기 1개 이상을 설치하고 실제로 사용하지 않거나, 설치된 보조공학기기와 동일한 목적의 일반 기기만 사용할 경우 ※ 보조공학기기 실제 사용을 확인하기 위하여 경기 장면 녹화됨